서울 8억 아파트 유찰에 5억으로 ‘뚝’… 경매도 찬바람

서울 8억 아파트 유찰에 5억으로 ‘뚝’… 경매도 찬바람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2-10-13 20:04
수정 2022-10-14 06: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낙찰률 35%… 2019년 이후 최저
“매매가 하락세에 보수적 참여”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의 연속 빅스텝(기준금리 0.5% 포인트 인상)으로 10년 만에 기준금리 3% 시대가 열리면서 부동산 시장이 잿빛에서 핏빛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10년 1개월여 만에, 수도권과 전국 아파트값은 2012년 5월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22% 떨어졌다.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커진 것이면서 2012년 8월 마지막 주(-0.22%) 조사 이후 10년 1개월여 만의 최대 하락이다.

임병철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은 “과거 외환위기 등 부동산 침체기에도 거래절벽 현상은 최대 6개월을 넘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1년 정도 진행됐다”며 “급급매 외에는 잘 팔리지 않는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동산 시장의 선행지표로 여기지는 법원 경매시장 상황도 심상치 않은 실정이다.

이날 법원 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1412건으로 이 가운데 497건만 낙찰, 낙찰률이 35.2%에 불과했다. 전월(41.5%)보다 6.3% 포인트 하락하면서 2019년 6월(34.6%)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년 전인 지난해 10월 낙찰률은 55.9%에 달했다.

지난해 2월 80%까지 낙찰률이 치솟았던 서울 아파트의 낙찰률(22.4%)은 거의 4분의1토막이 났다. 2001년 1월 이래 최저치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75㎡ 아파트는 두 차례 유찰로 최초 8억 1000만원이던 감정가가 5억 1840만원(감정가의 64%)으로 떨어졌다. 경기 부천시 상동의 56㎡ 아파트 역시 최초 감정가는 5억원이었지만 두 차례 유찰로 절반 가격도 되지 않는 2억 4500만원(감정가의 49%)에 올라와 있다. 두 물건 모두 등기나 임차권 등과 관련해 특이사항이 없는 물건이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매매가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있어 경매투자자들도 보수적으로 경매에 참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2022-10-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