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격지수, 나란히 역대 최고치
강남구, 올해 들어 누적 3.43% 상승
토허제 재지정에도 ‘똘똘한 한채’ 수요
토허제 이후 2주간 서초·용산 거래 제로

연합뉴스

상승세 이어가는 강남3구·용산·성동 아파트
6일 서울 한강 인근에서 바라본 서초구 아파트의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성동구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되며 매주 최고가를 높여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재지정에도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여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2021년 6월 매매가를 기준점(100)으로 지난 3월 다섯째 주(3월 31일 기준) 서초구의 매매가격지수는 115.96으로 2012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강남구(112.43), 송파구(112.10), 용산구(108.18), 성동구(108.78) 등도 나란히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들어 지난 3월 말까지 강남구는 3.43% 상승했으며 서초구와 송파구도 각각 2.97%, 3.90% 올랐다. 용산구(1.35%),성동구(1.60%)도 서울 평균 상승률(1.02%)을 웃돌았다. 특히 강남·서초·용산구는 지난달 24일부터 구 전체가 토허제 적용을 받게됐음에도 상승폭이 다소 둔화했을 뿐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송파구가 토허제 확대 시행 계획이 발표된 직후인 3월 넷째 주 0.03% 내리며 1년 1개월여만에 하락했으나 한 주 만에 바로 다시 상승 전환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상급지 중심의 갈아타기 수요가 여전한 가운데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과거에도 토허제 시행으로 거래량은 줄었지만 가격은 별 영향이 없었다”며 “강남권은 강보합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가 서울 토허제를 강남 3구와 용산구 아파트 전체로 확대 지정한 지난달 24일 이후 이날까지 2주 동안 이들 4개구의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9건에 불과했다. 강남구는 8건, 송파구는 1건이며 서초구와 용산구는 거래 신고 건수가 한 건도 없었다. 토허제 확대 전에 비하면 매수세가 확연히 꺾였고, 향후 집값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상황을 관망하는 분위기로 풀이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