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온도차… 은행은 당당·증권사는 눈치

육아휴직 온도차… 은행은 당당·증권사는 눈치

최선을 기자
입력 2018-06-21 22:38
수정 2018-06-21 2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은행 영업점 순환 인력수급 원활
8명 중 1명 꼴… 2년 기간 꽉 채워
증권업계 지점·여직원비율 적어
1년도 못채우고 조기 복귀 잦아
이미지 확대
최근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강조되고 있지만 금융권에서는 업종에 따라 육아휴직에 대한 온도차가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시중은행 여직원들은 8명 중 1명꼴로 육아휴직 중인 반면 증권사에서는 상대적으로 ‘그림의 떡’에 가까운 실정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의 전체 여직원 3만 300명 중 12.2%인 3684명이 육아휴직 중이다. 지난해에는 3만 335명 중 14.3%인 4346명이 육아휴직을 했다. 대상을 가임기 여성으로 한정하면 실제 육아휴직 비율은 훨씬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은 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대표적인 업종으로 꼽힌다. 직원들이 영업점을 순환하기 때문에 휴직 기간이 겹쳐도 인력 수급이 비교적 원활한 것이 비결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은행 인사부는 1월과 7월 등 정기 인사철이 아니더라도 영업점별로 인원을 조정하느라 분주하다.

한 시중은행에 근무하는 30대 중반 A씨는 육아휴직 2년을 다 채우지 않고 조만간 복귀하기로 했다. 인사부에서 “3개월 빨리 돌아오면 집과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고 귀띔해 줬기 때문이다. A씨는 “남은 휴직 기간은 자녀가 초등학교 입학할 때 추가로 쓰면 되니까 손해 볼 게 없다”고 설명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앞으로는 남직원들도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분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금융권이지만 증권업계는 사정이 다르다. 은행은 육아휴직 2년이 보장되지만 증권사는 1년 남짓으로 짧다. 서울의 구 단위로 하나씩 지점이 있는 식이라 직원들 순환이 쉽지 않은 게 은행과 다르다. 여직원 비율도 은행권에 비해 낮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 업체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증권사의 여성 임직원 비율은 25~50%로 절반을 넘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한 증권사 노조 관계자는 “금융지주 계열사는 2년 가까이 가능한 곳도 있지만 대부분 1년 정도 육아휴직을 쓴다”면서 “1년을 다 채우면 원래 있던 지점에 다시 못 돌아올까봐 조기 복귀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한 대형 증권사는 “여직원의 7~10% 정도를 육아휴직 대비 인력으로 생각하고 뽑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험사의 경우 여직원들이 1년은 기본으로 육아휴직을 쓰고 몇 개월씩 더 내는 직원들도 늘어나는 분위기다. 롯데손보는 여직원들이 출산을 하면 별다른 신청 없이 1년의 육아휴직을 보장하도록 했다. 남직원들도 1개월 육아휴직이 의무화돼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은행들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육아휴직이 잘 정착돼 있는 편인데 보험사의 경우 회사 규모별로 차이가 난다”면서 “인원이 적은 회사에서는 여전히 눈치를 좀 보는 편”이라고 덧붙였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06-2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