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가계대출의 질적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분할상환, 고정금리 취급 목표치를 상향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올해 말 은행권의 고정금리 대출과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의 목표 비율을 각각 52.5%, 60%로 설정하는 내용의 ‘은행 대출구조 개선 촉진 세부방안’ 행정지도를 예고했다. 지난해 말 목표치와 비교하면 각각 2.5% 포인트 상향된 수치다.
올해부터는 주담대 중 전세자금·중도금·이주비 대출을 제외한 장기 주담대에 대한 목표치도 추가됐다. 이에 따른 올해 말 기준 분할상환 취급 목표치는 연말 잔액 기준 82.5%, 고정금리 취급 목표치는 68.5%로 설정됐다. 또 올해 1월 이후 신규취급되는 디딤돌대출부터는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구조개선 실적으로 인정된다. 행정지도에는 은행권 영업점 성과지표를 개선해 가계대출 실적에 따른 평가를 폐지하고 수익성과 건전성 지표를 보강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2금융권도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높인다. 올해 보험업계의 주담대 분할상환 대출 비중 목표치는 지난해와 비교해 2.5% 포인트 상승한 67.5%, 고정금리 취급 비중은 2.5% 포인트 오른 55%로 설정됐다. 상호금융권의 주담대 분할상환 목표치는 기존 40%에서 45%로 상향됐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통해 “가계대출 양적 관리와 함께 분할상환 확대 등 질적 건전성 제고를 통해 외부충격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행정지도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의 후속조치로 가계대출의 질적 건전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황인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