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픽스 3%대로 하락… 주담대도 3%대 진입하나

코픽스 3%대로 하락… 주담대도 3%대 진입하나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02-16 01:53
수정 2023-02-16 01: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0.47%P↓
“3~4개월 내 주담대 3%대 예상”

이미지 확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으로 쓰이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지난해 10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3%대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주담대 하단도 3%대로 진입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1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3.82%로 한 달 전(4.29%)보다 0.47% 포인트 하락했다. 은행연합회가 2010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월 3.98%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3%대로 내렸다. 다만 비교적 시장금리 변동이 서서히 반영되는 잔액 기준 코픽스(3.63%)와 신잔액 기준 코픽스(3.02%)는 각각 한 달 사이 0.11% 포인트, 0.10% 포인트 올랐다.

코픽스는 은행의 자금조달원인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금융채 등의 평균 비용으로 산출한다. 코픽스가 떨어졌다는 건 그만큼 은행이 시장에서 싼값에 자금을 조달했다는 얘기다. 은행들은 5%대로 치솟았던 은행채(1년·AAA) 금리가 3%대로 안정화되면서 정기예금 금리를 비슷한 수준으로 인하했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신규 코픽스 기준 주담대 변동금리는 연 4.86~ 6.89%다. 코픽스 변동분은 16일부터 반영돼 4% 중반~6% 중반 수준으로 주담대 변동금리를 끌어내릴 전망이다. 정부의 은행 ‘돈장사 비판’과 통화당국의 긴축 종료에 대한 기대 등으로 은행들이 추가로 대출 금리를 더 낮출 가능성도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향후 대출금리는 꾸준히 떨어질 것”이라면서 “3~4개월 내에 주담대 하단이 3%대 후반으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출을 앞두고 있는 이들의 셈법은 복잡해질 전망이다. 이날 기준으로는 은행채 5년물을 준거금리로 삼는 고정금리 주담대 금리가 연 4.2~6.28%로 상하단이 변동금리 주담대보다 낮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규 코픽스가 큰 폭으로 낮아졌다고 해도 아직 남은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대출 갈아타기 가능성, 향후 금리 수준 등을 충분히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3-02-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