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CT 등 5곳, 10%대 금리로 참여
일부 최대 18% 연체… “채권 매각”

‘1.5금융’을 표방하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체(온투업·옛 P2P)가 저축은행과 손잡고 중신용 고객에게 신용대출을 본격적으로 실시한다. 다만 일부 온투업체의 연체율이 이미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고 저축은행도 9년 만에 연체율이 최대치인 터라 건전성 관리가 과제다.
1위 온투업체 피에프씨테크놀로지스(PFCT·크플)는 28일부터 저축은행업권의 연계 투자금을 조달해 중저 신용자를 위한 신용대출 상품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투자금은 다올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세람저축은행 등으로부터 조달한다. 이 외에도 에잇퍼센트, 어니스트에이아이, 머니무브, 모우다 등 PFCT를 포함한 5개 온투업체가 저축은행 연계 투자에 참여한다.
온투업은 온라인 플랫폼에서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유치해 이를 바탕으로 대출을 내주고 원금과 이자를 투자자에게 나눠 주는 서비스다. 금리는 10%대 전후로, 투자자들은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며 투자할 수 있고 업체는 수수료를 취하는 구조다. 원금은 보장되지 않는다. 저축은행 연계 투자는 온투업계의 오랜 숙원으로 지난해 7월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 서비스 지정으로 가능하게 됐다.
문제는 부실이다. 지난 4월 기준 연체율은 머니무브 2.06%, 에잇퍼센트 3.05%, 크플 7.46% 수준이며 어니스트에이아이는 13.77%, 모우다는 18.39%에 달한다. 온투업체들은 적극적으로 채권을 매각해 연체율을 관리하고 있는데, 원금 회수가 안 되면 투자자들이 손실을 떠안게 된다.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말 8.52%로 2015년 말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과 온투업체들은 연계 대출에 대해 양측의 신용평가 시스템으로 각각 이중 심사를 해 리스크를 관리하겠다는 계획이다.
2025-05-29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