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전년比 10.1% 증가 불구 주요 71개국 평균보다도 낮아 기저효과 탓 4월도 감소세 전환 수출 경쟁력 근본적 개선책 필요
올해 들어 우리나라의 수출 성장세가 큰 폭으로 둔화됐다. 세계 주요 10대 수출국 중 지난해 1위였던 순위도 8위까지 추락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일 세계무역기구(WTO)의 ‘월간 상품수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1분기(1~3월) 수출액은 1454억 27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1% 증가했다. 이러한 수출 증가율은 10대 수출국 중 8위에 해당한다. 전 세계 교역의 90%가량을 차지하는 주요 71개국의 평균 증가율(13.8%)보다도 낮은 것이다. 수출 규모 자체도 지난해 연간 6위에서 1분기에는 7위로 한 계단 내려갔다.
지난해 한국이 연 수출 증가율 15.8%로 10대 수출국 중 1위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출 상승세가 꺾인 모양새다. 한국의 지난해 1분기 수출 증가율도 10대 수출국 중 가장 높은 14.7%였다.
올해 수출이 시작부터 나쁜 것은 아니었다. 1월에는 전년 같은 달 대비 22.3% 증가했다. 하지만 2월 들어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줄면서 3.3% 증가에 그쳤다. 3월에는 전년 같은 달 실적이 워낙 많아 증가율이 떨어지는 기저효과 때문에 6.1%로 낮았다.
지난달에는 아예 수출이 3.7% 줄면서 17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정부는 4월도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반도체에 편중된 수출 구조와 자동차·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부진, 근본적인 수출 경쟁력 약화 등으로 수출 감소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분기 수출 증가율이 세계 10대 수출국 중 1~5위를 차지한 유럽연합(EU) 주요 국가들보다 낮은 이유에 대해 “달러 대비 유로화가 강세를 보인 환율 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달러 대비 유로 환율은 지난해 1분기 1.064달러에서 올 1분기 1.230달러로 15.6% 증가했다. 산업부는 “WTO가 유로 수출액을 달러 기준으로 환산하면서 올 1분기 수출액과 증감률이 EU 국가 중심으로 과다하게 왜곡됐다”면서 “EU 주요국의 유로 기준 수출 증가율은 3~4% 수준”이라고 밝혔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8-05-2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