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농을 준비하는 청년, 귀농을 꿈꾸는 도시민 등 예비 농업인에게 농지 구하기는 만만치 않은 과제다. 농지 가격은 얼마인지, 어떻게 빌릴 수 있는지, 나에게 맞는 농지는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등 정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전남 나주혁신도시 내 한국농어촌공사 전경. 농어촌공사는 최근 농지은행 포털을 사용자 중심으로 바꿨다.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전남 나주혁신도시 내 한국농어촌공사 전경. 농어촌공사는 최근 농지은행 포털을 사용자 중심으로 바꿨다. 한국농어촌공사 제공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가 신산업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농지은행을 통해 농지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농어촌공사는 최근 농지은행 포털(www.fbo.or.kr)을 사용자 중심으로 전면 개편했다. 본인 여건에 맞는 농지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24시간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농지은행은 기존의 제공정보(필지 주소, 면적 등)에 더해 항공사진기반 지도서비스, 토양정보, 재배작물, 농지가격 및 거래정보 등 수요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한다. 이로써 농업인이 농지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해당 농지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도 새롭게 추가했다. 원하는 농지를 맞춤형으로 조회하거나 관심 매물로 보관하고, 추천 예약하는 기능을 통해 원하는 농지를 지속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 지원 신청 결과는 포털 내 마이페이지나 문자메시지, 이메일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비 농업인의 농지 지원 신청 절차도 간편해졌다.
기존에는 농어촌공사 지사를 방문해야 했지만 이제는 인터넷으로 농지지원을 신청할 수 있다. 기존에 따로 운영됐던 농지연금 포털과 농지은행 포털 사이트를 통합해 서비스 창구를 일원화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11-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