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출기업수가 증가하고 교역품목도 다변화됐지만, 정작 수출액은 미중 무역갈등 등의 영향으로 부진을 면치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가 덮친 올해도 전체 수출실적도 마이너스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2019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통계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9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 통계청 제공.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기업특성별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기업수는 9만 7418개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대기업이 6.3%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이어 중견기업(4.7%), 중소기업(1.1%) 순으로 이어졌다.
교역품목도 다변화됐다. 지난해 전체 기업의 평균 수출 교역품목수는 5.8개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다만 대기업 품목은 48.0개로, 3.5% 감소했다. 이는 대기업 중심의 무역액이 감소함에 따라 무역집중도가 완화된 영향도 있다. 지난해 상위 10대 기업 비중은 전년(37.9%)보다 감소한 34.6%를 기록했다.
그러나 양적 증가세와 달리 실제 기업들의 실적인 수출액은 일제히 줄었다. 전체 수출액은 10.3% 줄어든 54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미중 무역갈등과 일본 수출규제 등 영향으로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기업규모별로도 대기업 수출액이 13.5% 줄어드면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반도체 등 자본재(-18.3%)와 광물성 연료 등 원자재(-9.8%) 수출이 감소한 탓이 크다. 중견기업(-4.6%)과 중소기업(-3.5%)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수입 측면에서도 수입기업수는 늘어난 반면 전체 수입액은 감소했다. 지난해 총 수입기업수는 19만 2791개로, 전년 대비 4.2% 늘어났다. 그러나 수입액은 6.4% 감소한 4955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기업에선 광물성 원료 등 원재자와 자동차 등 소비재 위주로 수입이 줄었고, 중소기업에선 정밀기계 등 자본재 수입이 -19.8%로 크게 줄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