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2’에 참가한 본느퐁은 서울신문 등 국내 주요 언론과 만나 “최근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을 우리로서는 예측하기 어려운 사건이었다”면서 “앞으로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교류가 과거보다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반도체 회사들은 (자동차 회사들에게) 중요도가 덜했지만 이제 상황이 달라졌다”면서 “MCU(마이크로컨트롤러·반도체의 일종) 등의 표준화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단순화하고 공급망을 훨씬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차량용 반도체 분야에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으나 최근 글로벌 공급난을 계기로 신제품을 잇달아 선보이며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이 가운데 삼성전자가 폭스바겐, 테슬라 등에 이어 스텔란티스와도 반도체 협업을 강화할지 주목된다.
스텔란티스는 이날 산하 고급차 브랜드 ‘크라이슬러’의 첫 번째 전기차 ‘에어플로우 콘셉트’를 공개하는 등 전동화 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한국 배터리 기업 삼성SDI와 합작사를 설립해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짓기로 한 바 있다. 그는 “앞으로 다른 배터리 공급사와도 협업해 더 많은 생산능력을 갖추길 원한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