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전국 산업단지(산단)에서 중대사고 283건이 발생했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발생이 1.7배 많았다.
이미지 확대
최근 10년간 전국 산업단지(산단)에서 중대사고 283건이 발생했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발생이 1.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신문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최근 10년간 전국 산업단지(산단)에서 중대사고 283건이 발생했다. 특히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발생이 1.7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신문DB
1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제출받은 산업재해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중대사고는 283건에 이른다.
공단이 관리하는 65개 산단에서 발생한 사고 중 ‘사망·재산 피해 1억원 이상·유해화학물질 누출·언론 중대 보도’가 대상이다.
중대사고는 중소기업이 175건, 대기업이 106건으로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1.7배 많았다.
중소기업에서 발생한 사고는 화재(93건)가 전체의 53%를 차지했고 근로 사상자 등 산업재해(42건), 가스·화학물질사고와 폭발(각 20건) 등의 순이었다.
특히 중소기업 중대사고(175건)의 97%인 170건이 20년 이상의 노후 산단(24곳)에서 발생했다. 노후 산단 중 중소기업 중대사고 발생이 많은 곳은 인천 남동국가산단(25건), 구미국가산단(21건), 울산미포·경기 시화산단(14건), 여수국가산단(11건) 등의 순이다.
김 의원은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해 산업재해에 취약하다”며 “노후 산단은 문제의 심각성에도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