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61% “내년 원가절감 및 긴축 집중”

중기 61% “내년 원가절감 및 긴축 집중”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12-11 11:23
수정 2022-12-11 12: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내년의 핵심 경영전략으로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6곳이 ‘원가절감과 긴축’을 첫손에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 41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중소기업 경영실태 및 2023년 경영계획 조사’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2023년 경영환경에 대해 절반 이상(61.5%)이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답해 내년에도 경영환경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경영환경 악화를 예상한 기업은 26.3%, 개선될 것이라는 기업은 12.2%로 조사됐다.

특히 중소기업의 61.2%는 내년 핵심 경영전략으로 ‘원가절감 및 긴축’을 꼽았다. 이어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34.9%)와 ‘신규판로 확대’(31.5%) 순으로 응답했다.

중소기업 경영안정과 성장을 위해 가장 절실한 정책으로 ‘금융비용 부담 완화’(68.8%)를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판로 및 수출지원 확대’(33.2%), ‘규제개선’(32.7%) 순으로 조사됐다.

중장기적으로 중소기업 경영에 가장 불리해 대비가 필요한 요소로, ‘노동인구 감소’가 45.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산업변화에 뒤처진 규제’(33.2%), ‘첨단 기술수준과의 격차 확대’(10.5%)가 뒤를 이었다.
이미지 확대
올해 경영환경과 관련해 53.2%가 어려웠다고 평가했다. 경영이 어려웠던 요인으로는 ‘수요위축’(57.3%)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금리인상’(42.7%), ‘인건비 상승’(28.4%) 등으로 응답했다.

올해 경영환경 개선을 위한 자구노력으로, 중소기업 59.8%가 ‘비용절감 및 구조조정’이라고 답했고, ‘거래선(영업·홍보) 확대’(51.5%), ‘자금 조달처 확대’(26.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장 유용했던 정부(지자체) 정책으로 ‘세금감면·납부유예’(29.3%)가 첫손에 꼽혔다. ‘대출만기 유예·연장’(22.2%), ‘소상공인 손실보전’(16.1%)의 순서로 높은 응답 비중을 보였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내년에도 복합경제 위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년 중소기업 경영안정과 성장을 위한 정부의 최우선 정책으로 금융비용 부담완화가 꼽힌 만큼 저금리 대출 전환 등 부채 연착륙 방안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