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에 원팀 꾸려 대응

포스코홀딩스 제공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가 현대제철이 미국 현지에 건설할 예정인 제철소에 지분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철강업체 1·2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파고를 넘기 위해 손을 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현대제철 미국 제철소에 대한 지분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국 투자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미국 투자와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현시점에서 확정된 건 없다”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철강 연 270만t을 생산하는 전기로 제철소를 건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현대제철은 투자금 약 58억 달러(약 8조 5000억원) 중 절반을 외부에서 차입하겠다는 방침인데, 현금이 충분한 포스코가 유력한 투자자로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기준 포스코홀딩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6조 7679억원에 달한다.
앞서 포스코는 미국 현지에서 직접 쇳물을 뽑아 제품 생산까지 하는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도입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포스코는 미국에 반제품을 최종 제품으로 만드는 가공센터만 운영 중이다. 이주태 포스코 미래전략본부장은 지난달 정기 주주총회에서 “완결형 현지화 전략을 통해 미국 시장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포스코는 관세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직속의 ‘글로벌통상정책팀’을 신설했다. 포스코가 경쟁사인 현대제철과 손을 잡고 미국 진출을 고민하는 이유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위기를 넘기 위해서다.
2025-04-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