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셀트리온 제공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미국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이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미칠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셀트리온의 주력 사업인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에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서 회장은 15일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과 미국 관세 변화에 대한 회사의 준비 상황에 대해 소개했다.
서 회장은 “트럼프 정부의 약가 인하 추진과 의약품 관세 등 정책 변화로 영향을 받은 한국의 제약바이오 기업은 거의 없는데 과도한 공포가 형성된 것 같다”며 “미국의 정책 변화는 한국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아니라”고 말했다.
약가 인하 추진은 셀트리온에게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미국 약가가 높은 건 제약사가 아니라 중간 유통 과정 문제로 발생한 일”이라며 “약가 인하 정책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등 중간 유통 구조를 주요 타깃으로 한다“”고 했다.
미국에서는 제약사가 자율적으로 약가를 결정하지만 이 과정에 PBM과 민간 보험사가 관여해 약가를 올리기도 한다. 서 회장은 “중간 유통 구조가 단순화되면 바이오시밀러 경쟁이 유리해진다”며 “셀트리온 입장에서는 더 많은 기회가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미국 정부의 의약품 관세 부과에 대해서는 “내년까지는 관세 영향을 전혀 받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2주 내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서 회장은 “미국에 판매 중인 ‘허쥬마’, ‘램시마’, ‘트룩시마’ 등은 화이자 등을 통해 팔고 있는 만큼 셀트리온은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라면서 “이미 15∼21개월 치 재고를 확보하고 있어 관세가 어떻게 발표되든 내년 말까지는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서도 300만 바이알 수준의 완제의약품을 만들 수 있는 계약을 확보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미국 내 공장 투자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란 입장이다. 10만ℓ 공장을 한국에 지으면 1조3000억원이 들지만 미국에 건설하면 약 2조원으로 비용이 급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올해 사업 전망에 대해서는 “적어도 4조6000억에서 4조7000억원으로 5조원 범위에서 매출이 나올 것으로 본다”며 “2038년까지 18개 제품을 추가해 총 40개 제품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