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자동차의 도심항공교통(UAM) 독립법인 ‘슈퍼널’이 공개한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 S-A2의 모습.
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 제공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회에서 글로벌 무역 갈등 등 다양한 위기와 불확실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체질을 바꾸며 변화와 혁신을 추구해 온 우리는 어떤 시험과 어려움도 이겨 낼 수 있는 현대차그룹의 DNA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미래·혁신 경영을 통해 완성차뿐만 아니라 로봇, 미래환경교통(AAM) 등 다양한 미래 먹거리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는 2030년 21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구축하고 기아는 2027년까지 다양한 목적기반차량(PBV)을 포함한 15개 모델의 전기차 풀라인업을 갖출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4월에는 성능과 연비가 대폭 향상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도 공개했다.
지난 3월 현대차그룹이 준공한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는 프레스·차체·도장·의장으로 이뤄지는 자동차 생산공정 요소 요소에 로봇을 활용한 제조 혁신 기술이 적용됐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4월 국내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첫 실증 사업에도 성공했다.
지난해 CES에서 현대차그룹은 UAM 독립법인 ‘슈퍼널’을 통해 차세대 UAM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 S-A2의 실물을 최초 공개했다. S-A2는 현대차그룹이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며 최대 400~500m 고도에서 시속 200㎞의 순항 속도로 비행할 예정이다.
2025-06-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