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사 방해 의혹’ 수사 착수

KT 무단 소액결제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법 기지국 아이디 개수와 해킹에 노출된 피해자 수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범행에 쓰인 기지국 아이디(셀 아이디) 4개 외에도 추가 불법 아이디가 발견돼 현재까지 모두 20개가량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한 KT대리점 모습. 2025.10.16 연합뉴스
KT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 사태와 관련해 범행에 사용된 불법 기지국 아이디 개수와 피해자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KT가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민희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범행에 쓰인 불법 기지국 아이디(셀 아이디)는 기존 4개 외에 추가 발견돼 현재까지 20개가량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도 기존 집계 인원 외에 10명 이내로 추가 발견됐다. 현재 경찰과 KT는 피해자를 각각 220명, 362명으로 집계하고 있다.
불법 기지국 접속 인원 수 또한 기존 2만 30명에서 2000여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확인한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KT의 거짓말이 결국 드러났다”며 반복적인 축소·은폐 행태에 대한 징벌적 제재를 촉구했다. KT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17일 설명회를 가질 계획이다.
KT가 이번 사건과 관련해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에 대해 경찰이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이날 경찰청으로부터 해당 의혹 사건을 배당받아 내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경찰은 KT의 초동 대응 문제와 조사 방해 의혹 전반을 살펴볼 예정이다.
2025-10-1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