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물가, 새해에도 무섭게 오르네 글로벌 공급 차질에 따른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새해 들어서도 밥상·생필품 등 민생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16일 경기도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정연호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밥상 물가, 새해에도 무섭게 오르네
글로벌 공급 차질에 따른 원자재값 상승 등으로 새해 들어서도 밥상·생필품 등 민생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16일 경기도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정연호 기자
한국의 지난해 11월 물가 상승률이 10년 만에 최고 기록을 세웠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낮은 편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3.7%로, OECD 회원국 37개국 중 28위에 머물렀다.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2011년 12월(4.2%)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았지만 OECD 평균 CPI 상승률은 5.8%로 한국보다 2% 포인트 이상 높았다. 한국의 에너지 가격 상승률은 19.8%로, 회원국 중 26위에 그쳤다. 다만 식품류 가격 상승률은 6.1%로, OECD 평균(5.5%)을 웃돌며 8위에 올랐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해 11월 물가 상승률은 아르헨티나가 51.2%를 기록해 회원국 중 가장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저금리 정책을 고수하면서 리라화 가치가 폭락한 터키가 21.3%로 아르헨티나의 뒤를 이었다. OECD 회원국의 지난해 11월 인플레이션은 원유와 석탄,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이 치솟은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OECD 평균 에너지 가격 상승률은 27.7%로, 1979∼1980년 이후 40여년 만에 가장 높았다.
김소라 기자
2022-01-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