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미의 시청각 교실] 마이너스 손의 사정

[황서미의 시청각 교실] 마이너스 손의 사정

입력 2020-12-08 20:38
수정 2020-12-0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황서미 작가
황서미 작가
갑자기 무슨 바람이 들었는지, 자리 털고 일어나 노트북을 들고 양평 쪽으로 향했다. 강이 보이기에 차를 세우고 들어온 카페. 묵직한 라떼 한 잔 시켜서 원고 마무리 짓는데, 아, 산만하고 귀 밝은 나! 또 옆자리 이야기 다 들린다. 60대 정도로 보이는 아주머니 두 분이 오랜만에 만나신 것 같다.

“나 언니 말 듣고, 여기 공기 좋은 데로 온 거잖아. 난 그게 너무 행복해. 우리 아저씨도 그러잖어. 너무 넓으면 적적하다고. 그냥 53평 정도나 56평 정도 되는 데 고른 게 딱 좋았어. 아, 그럼, 그럼. 여기(팔을 휘휘 저으며) 강 껴야지. 아침에 일어나서 물안개 타악~ 낀 거 보는 게 얼마나 행복한데, 언니.”

“왜 없는 할머니들 술 먹고 웨애애애~ 하고 노는 것 있잖아, 나는 그게 좋아. 그냥 자식들 잘돼서 용돈 받으면서 말이야, 손주들 오면 그 돈 모아서 용돈 주고. 학교라도 입학하면 좀 보태서 입학금이나 좀 주고…… 이러고 사는 게 좋아.

있는 사람들 보니까 별로 안 행복하더라고. 어. 돈 쥐고 있으면 안 행복해. 그냥 소소하게 사는 게 좋아.”

그 짧은 시간 들리는 말소리로 이 멋쟁이 할머님 신상 파악 완료! ‘김치공장을 오래 운영하심. 지금은 처분. 아들은 지금 미국에 있음. 아저씨도 은퇴하고 집에서 삼식이 하고 계심. 그거 꼴 보기는 싫지만, 주말이면 따로 농장 내려가시니 내내 그것만 기다림.’

얼마 전에는 아파트 분양을 받을 때 ‘마이너스 옵션 제도’를 선택할 것인가 말 것인가 조목조목 짚어준 글을 읽어 보았다. 부끄럽지만, 나는 마이너스 옵션에 대해 이번에 처음 알았다. 청약이나 내 집 마련에 대해서 영 관심이 없다기보다 아직은 내 이야기가 아닌 것 같아서 급한 일만 생기면 꽤 목돈이 모인 청약 통장을 깰까 말까 망설인다.

마이너스의 손! 그러니, 옆자리의 아름다운 두 여사님의 대화가 나로서는 ‘꿈의 대화’로 들릴 수밖에. 한 번 구경도 못한, 50평대의 리버뷰 낀 아파트에 사시는 여사님. 손주들 입학금이나 주면서 소소하게(?) 살고 싶으시다는 마음이 경이롭게까지 들렸다.

하신 말씀처럼 정말 돈 있는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을까. 나는 그럴 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돈이 없어서 불행하고 불편한 것을 너무 많이 겪고, 또 본지라. 돈이 많아도 여전히 불행한 사람은 있을지언정, 부자가 누리는 편익은 포기할 수 없는 행복의 한 형태일 것이다.

서민들은 어떻게 하면 ‘보이지 않는 천장’을 뚫을 수 있을지 방법을 찾고 싶다. 부는 세습만이 정답인 건가. 나도 두 팔 걷어붙이고, 내 사업, 김치공장이라도 운영하며 우먼파워를 보여 주어야 하는가!

지금 이 글을 마무리 짓고 있는 내 마음은 ‘그래도 우리에겐 희망은 있으니 끝까지 버텨보자고요’라며 우리들의 뻔히 밝은 미래를 이야기하고 싶다. 그러나 왠지 내 사정은, 집을 마련할 방법은 ‘버티는 것’ 가지고는 안 될 것 같은 생각이 지금, 이 순간 벼락같이 꽂힌다. 파바박!
2020-12-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