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었다’, ‘사망하다’는 감정이나 배려 없이 죽음을 알린다. 죽은 이와 별 관계가 없을 때 주로 쓴다. 어떤 형태로든 관계가 있다면 ‘돌아가시다’, ‘작고하다’, ‘운명하다’, ‘영면하다’처럼 둘러서 말한다.
‘운명하다’는 ‘목숨이 끊어지다’, ‘영면하다’는 ‘영원히 잠든다’는 의미를 지녔다. 비유적인 ‘영면하다’가 더 완곡하게 들린다. ‘작고하다’는 ‘고인이 됐다’는 뜻으로 ‘돌아가시다’처럼 죽은 이를 높인다.
‘별세’도 자주 보이는 높임말이다. 신문 부음란에도 흔하다. 사전적 의미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이다. ‘궂기다’도 ‘윗사람이 죽다’는 말이지만, 흔치는 않다.
‘별세’ 다음에는 ‘타계’가 낯익게 등장한다. ‘인간계가 아니라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이다.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이 있다. 예전의 우리는 귀인이 죽었을 때 이렇게 표현한 적이 있다. ‘서거’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이라는 뜻이지만, ‘타계’보다 더 높이는 말이 됐다. 대통령이나 교황 같은 이들이 죽었을 때 주로 ‘서거’라고 한다.
특정인의 죽음은 모두에게 같지 않다. 사람마다 그의 죽음을 다르게 말한다. 누구에게는 죽음이거나 사망이고, 누구에게는 별세, 누구에게는 타계, 누구에게는 서거다. 김종필 전 총리의 죽음도 이렇게 다 달랐다.
언론의 눈은 어디에 있어야 했을까. 언론은 주로 별세, 타계라고 했다.
wlee@seoul.co.kr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별세’도 자주 보이는 높임말이다. 신문 부음란에도 흔하다. 사전적 의미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이다. ‘궂기다’도 ‘윗사람이 죽다’는 말이지만, 흔치는 않다.
‘별세’ 다음에는 ‘타계’가 낯익게 등장한다. ‘인간계가 아니라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이다. 국어사전에는 ‘귀인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이 있다. 예전의 우리는 귀인이 죽었을 때 이렇게 표현한 적이 있다. ‘서거’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이라는 뜻이지만, ‘타계’보다 더 높이는 말이 됐다. 대통령이나 교황 같은 이들이 죽었을 때 주로 ‘서거’라고 한다.
특정인의 죽음은 모두에게 같지 않다. 사람마다 그의 죽음을 다르게 말한다. 누구에게는 죽음이거나 사망이고, 누구에게는 별세, 누구에게는 타계, 누구에게는 서거다. 김종필 전 총리의 죽음도 이렇게 다 달랐다.
언론의 눈은 어디에 있어야 했을까. 언론은 주로 별세, 타계라고 했다.
wlee@seoul.co.kr
2018-06-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