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갈비뼈 부러진 걸 몰랐다는 것/한승혜 주부

[2030 세대] 갈비뼈 부러진 걸 몰랐다는 것/한승혜 주부

입력 2022-02-21 20:28
수정 2022-02-22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8번 늑골이 부러져서 아픈 겁니다.” “부…, 부러졌다고요?” “벌써 한참 됐는데요? 여기 보이시죠? 몇 달 전에 이미 부러졌어요.”

 엑스레이 사진을 보니 그의 말대로 갈비뼈 한 대에 선명한 표시가 나 있었다. 매끈한 다른 뼈들과 다르게 중간이 볼록 튀어나와 있는 모습. 부러졌다 붙은 흔적이라고 했다.

 전부터 등이 아팠지만 격렬한 운동에 으레 따라오기 마련인 근육통이라고만 생각했다. 그러다 몇 주 전에는 평소보다 아프길래 동네 정형외과를 찾았다. 그저 근육통 약이나 처방받고 끝날 줄 알았는데 뼈가 부러졌단다. 금이 간 것도 아니고 골절. 그간 갈비뼈가 부러진 것도 모른 채 몇 달 동안 운동도 하고, 글도 쓰고, 아이들도 돌본 것이다. 이미 붙었는데도 아픈 까닭은 아직 완전히 붙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소식을 전하자 주변에선 다들 깜짝 놀라며 말했다. “아니, 금만 가도 아픈 걸 어떻게 참았대?”, “참을성이 대단하신가 봐요”, “너무 둔감한 것 아냐? 조심해!” 위로와 걱정, 근심 어린 타박을 들었다. 나 같아도 주변의 누군가 다쳤다면 비슷한 말을 할 것이기에 당연한 반응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솔직히 조금 당황스럽기도 했다. 딱히 못 견딜 만큼 아프지도, 아픈 것을 꾹 참은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조금 통증이 있긴 했지만 달리기를 하거나 등산을 다녀온 다음날 몸이 쑤시는 정도와 비슷했다. 단순한 근육통인 줄 알았던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그런데 골절이라니. 이상한 건 내가 딱히 통증에 둔감한 사람이 아니라는 점이다. 평소 예방접종 주사에도 아프다고 엄살을 부릴 정도인데, 뼈가 부러진 걸 그동안 어떻게 몰랐을까. 심지어는 금만 살짝 가도 아프다던데.

 당황하며 의아해하는 내게 의사는 아마도 근육의 영향이었을 것이라 말했다. 근육이 몸을 지탱해 주었기 때문에 본래 아파야 하는 정도보다 훨씬 덜 아팠을 것이라고. 이 얼마나 우스운 일이란 말인가. 지난해 이맘때쯤 건강해지기 위해 운동을 시작했고, 일 년간 꾸준히 한 끝에 체력도 좋아지고 말 그대로 튼튼해졌다. 그러다 지나치게 열심히 한 탓에 부상을 당해 뼈가 부러지고 말았다. 하지만 운동을 하며 늘어난 근육 때문에 다친 정도에 비해서는 많이 아프지도, 고생을 하지도 않은 것이다.

 이 세상의 그 무엇도 완전히 좋기만 할 수는 없다지만 그걸 이렇게 실감할 줄이야. 그야말로 어느 영화 속 대사처럼, “내 인생을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가 따로 없다. 뼈 한 대 부러진 걸 두고 지나치게 심각해진 것이려나. 하지만 갈비뼈가 거의 나아가는 지금, 운동에 복귀해야 할지 말지를 고민하는 입장에서는 진지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어쩌면 비단 갈비뼈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닐지 모른다. 사는 건 그래서 어려운 모양이다.
2022-0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