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떡방아간이 사라지지 않게 해 주세요/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떡방아간이 사라지지 않게 해 주세요/

입력 2018-08-16 17:22
수정 2018-08-16 17: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획 위에 8획/송현숙
1획 위에 8획/송현숙 캔버스에 템페라
파독 간호사 출신 재독 작가. 1981년 함부르크대 미대 회화과 졸업
떡방아간이 사라지지 않게 해 주세요/김선우

차가운 무쇠기계에서

뜻밖의 선물 같은 김 오르는 따뜻한 살집 같은 다정한 언니의 매촘한 발목 같은 뜨거운 그리운 육두문자 같은 배를 만져주는 할머니의 흰 그림자 같은 따스한 눈물의 모음 같은 너에게 연결되고 싶은 쫄깃한 꿈결 같은 졸음에 겨운 하얀 양 눈 속에 부드럽게 흰 느린 길 같은 노크하자 기다랗게 뽑아져 나오는 잃어버린 시간 같은

가래떡이 나오네

차갑고 딱딱한 무쇠기계에서 나오는 것이긴 칼이나 총알이 아니라 이렇게 말랑 고소한 떡이라는 게 별안간 고마워서 두 손에 덥석 받아들고 아, 아, 목청 가다듬네 말랑하고 따뜻한 명랑한 웅변처럼 별안간 프러포즈를 하네

저기요… 떡방아간에서 우리 만날까요

차가운 기계에서 막 빠져나온 뜨끈한 가래떡 한 줄 들고 빼빼로 먹기 하듯 양끝에서 먹어 들어가기 할까요 그러니까 우리 한번쯤 만나도 좋은 때까지 말랑하고 명랑하게 한번 달려 볼까요

===================================

어릴 적 떡방아간 앞에 서 있을 적이 있었다. 명절 준비로 떡방아간에서는 떡을 찌는 하얀 김이 뿜어져 나오고 가래떡 기계에서는 하얀 가래떡이 이어져 나왔다. 떡방아간 아줌마는 물 묻은 손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가래떡을 끊어 냈는데 맨 나중의 가래떡은 그 길이가 짧아서 상자에 넣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리 오렴. 아줌마가 불러 쪼가리 떡을 손에 쥐여 줄 때 얼마나 행복했는지 모른다. 나는 오랫동안 떡방아집의 딸이 세상에서 제일 예쁘다고 생각했다. 저기요, 떡방아간에서 우리 만날까요. 시인의 상상력이 가래떡의 촉감만큼이나 따스하고 부드럽다.

곽재구 시인
2018-08-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