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신기루/유선태 · 상수리나무/안현미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신기루/유선태 · 상수리나무/안현미

입력 2020-04-23 22:46
수정 2020-04-24 14: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신기루/유선태
신기루/유선태 162.2x130.3㎝, 캔버스에 아크릴. 2019. 가나아트갤러리
일상의 오브제로 명상적이고 초현실적인 세계를 표현.
상수리나무/안현미

스스로를 용서할 수 없을 것만 같은 날 배봉산 근린공원에 갔지 사는 게 바빠 지척에 두고도 십 년 동안 한 번도 가보지 못했던 그곳 상수리나무라는 직립의 고독을 만나러 갔지 고독인지 낙엽인지 죽음인지 삶인지 오래 묵은 냄새가 푸근했지 스스로를 용서할 수 없을 것 같은 날 죽음이 다음이어야 하는지를 묻기 위해 배봉산 근린공원에 갔지 바퀴 달린 신발을 신은 아이는 바퀴를 굴리며 혼자 놀고 있었지 어차피 잠시 동안만 그렇게 함께 있는 거지 백 년 후에는 아이도 나도 없지 상수리나무만 홀로 남아 오래전 먼저 저를 안아버렸던 여자의 젖가슴을 기억해 줄 테지 스스로를 용서할 수 없을 것 같은 날 그곳에 갔지 직립의 고독을 만나러 갔지 죽음이 다음이어야 하는지를 묻기 위해 상수리나무를 만나러 갔지

상수리나무는 제일 흔한 나무입니다. 도토리나무와 형제지요. 이 나무를 애정하는 존재 둘이 있습니다. 다람쥐와 숯장수. 다람쥐는 상수리나 도토리만 있으면 살아갑니다. 다람쥐를 위해 세상의 모든 숲은 일정 비율 상수리나무를 비치하지요. 나무는 참나무 혹은 굴참나무라는 이름도 있습니다. 숯막에서 숯 굽고 사는 사내에게 이 나무만 한 존재는 없지요. 이 나무로 만든 숯이 참숯입니다. 숯은 까만데 불빛은 복숭아꽃보다 곱습니다. 상수리나무가 있으니 다람쥐도 숯장수도 살아가지요. 상수리나무가 있는 한 죽음 이야기는 꺼내지 마세요. 참숯 하나 피워 따뜻한 흰밥 한 냄비, 동무 불러 함께 드세요. 소주도 한 잔.

곽재구 시인
2020-04-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