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파도만 일지 않는다면 조용하다. 물이 그릇을 따르듯이 처세하라. 물이 깊어야 고요하다. 물고기는 물을 얻어 헤엄치되 물을 잊고, 새는 바람을 타고 날되 바람을 모른다. 물이 모이면 절로 시내를 이루니 모든 것을 천기에 맡겨라.”(이상 ‘채근담’에서 발췌)
“모양이나 색깔이 달라졌다 해서/물이 제소리까지 바꾼 적은 없다/들어 보라, 도랑물이든 한강물이든/물은 물소리로서/세상을 살지 않는가?/흐린 세상 흐린 얼굴로 흐르는 물더러 더럽다 침을 뱉는 자 누구인가? … 물소리로 귀를 씻어라”(졸시, ‘물소리는 언제나 맑다’의 부분)
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을 들라 하면 나는 서슴없이 물을 들겠다. 목마를 때 마시는 한 잔의 물은 얼마나 달고 시원한가. 이 세상에서 가장 순결한 것을 떠올리라 할 때에도 나는 망설이지 않고 두말없이 물을 들겠다. 세속 잡사에 시달리다 귀가하거나 먼 여행에서 돌아올 때 오염된 마음과 몸을 씻어 내기 위해 맨 먼저 습관처럼 찾는 것이 물이니 말해 무엇하랴.
만약 이 세상에 물이 없다고 가정해 보자. 죽음 외에 무엇을 달리 떠올릴 수 있겠는가. 물은 우리가 숨쉴 때 들이마시고 내뿜는 공기 속 산소와 더불어 가장 필요한 생명의 절대 요소가 아닌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나날의 일상에서 이러한 물의 소중함을 망각하며 살고 있다. 아니 망각의 정도가 아니라 함부로 물을 대하거나 다루며 살고 있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당하기만 하는 물도 더이상 참을 수 없을 때 화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사람이 내는 화의 피해에 비할 수 없이 물이 내는 분노의 정도는 그 크기와 깊이를 가늠할 수 없으니 우리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요 어머니인 물이 인내의 임계점을 넘어 화낼 일을 부디 더는 만들지 말아야 한다.
이상 기온으로 연일 날씨가 불쾌지수를 높이고 있다. 기온이 상승하면 그만큼 물의 소비량도 늘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자연 물을 함부로 다뤄 물의 몸을 더럽히는 일을 벌이기도 한다. 그러나 의식 없이 예사로 벌이는 이 행위가 죄업임을 알아야 한다. 물이 아프면 지구가 앓고, 물이 죽으면 우리가 함께 죽는다.
난 젊은 날 열등의식이 많았다. 학력 콤플렉스에, 작은 키, 가난, 뭐 하나 내세울 게 없었다. 그래서인지 대인관계가 원만치가 않아 트러블이 많았다. 별일도 아닌 일에 벌컥, 욱, 버럭 하는 통에 관계의 공든 탑이 무너지기 일쑤였다. 돌이켜보면 그게 다 내 열등의식이 시킨 짓이었다. 상대방이 웃자고, 분위기를 위해서 한 말에, 심지어는 덕담과 칭찬을 야유로 곡해해 과도하게 감정을 분출했던 것이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 전에 비해 자신감이 생겨난 탓이리라. 트라우마와 콤플렉스는 타자와의 관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치명적 원인이 된다.
물은 우리에게 생명을 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살림살이에 대해 크고 작은 지혜까지도 안겨 준다. 불경 ‘채근담’에 의하면 물은 본래 소리가 없다고 한다. 물이 소리를 내는 것은 바닥 때문이라고 한다. 물이 어느 바닥을 만나느냐에 따라 소리를 크게 내기도 작게 내기도 한다고 한다. 즉 울퉁불퉁한 바닥을 만나면 물이 크게 소리쳐 울고, 고른 바닥을 만나면 물은 소리 없이 제 갈 길을 조용히 갈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물의 성정을 통해 인간 삶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다.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불화를 겪게 될 때 우리는 흔히 그 원인을 바깥에서 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즉 내 안의 고르지 못한 생의 바닥을 탓하기 전에 물인 상대가 내게로 와서 까닭 없이 분란을 일으킨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내 생의 바닥을 늘 고르게 할 수 있다면 물인 그대가 아무리 자주 다녀간들 소리가 요란하지 않을 것이다. 또 불경 ‘법구경’에 따르면 같은 물도 뱀이 마시면 독이 되고, 소가 마시면 우유가 된다는 말이 있다. 같은 사실일지라도 받아들이는 주체에 따라 악이 되고 선이 된다는 뜻이다.
지금 우리의 생명수가 온갖 질병으로 크게 앓고 있다. 그 병인은 우리의 탐욕이 만든 것이다. 물의 건강은 우리의 의식이 건강할 때 되찾을 수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을 들라 하면 나는 서슴없이 물을 들겠다. 목마를 때 마시는 한 잔의 물은 얼마나 달고 시원한가. 이 세상에서 가장 순결한 것을 떠올리라 할 때에도 나는 망설이지 않고 두말없이 물을 들겠다. 세속 잡사에 시달리다 귀가하거나 먼 여행에서 돌아올 때 오염된 마음과 몸을 씻어 내기 위해 맨 먼저 습관처럼 찾는 것이 물이니 말해 무엇하랴.
이재무 시인
이상 기온으로 연일 날씨가 불쾌지수를 높이고 있다. 기온이 상승하면 그만큼 물의 소비량도 늘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자연 물을 함부로 다뤄 물의 몸을 더럽히는 일을 벌이기도 한다. 그러나 의식 없이 예사로 벌이는 이 행위가 죄업임을 알아야 한다. 물이 아프면 지구가 앓고, 물이 죽으면 우리가 함께 죽는다.
난 젊은 날 열등의식이 많았다. 학력 콤플렉스에, 작은 키, 가난, 뭐 하나 내세울 게 없었다. 그래서인지 대인관계가 원만치가 않아 트러블이 많았다. 별일도 아닌 일에 벌컥, 욱, 버럭 하는 통에 관계의 공든 탑이 무너지기 일쑤였다. 돌이켜보면 그게 다 내 열등의식이 시킨 짓이었다. 상대방이 웃자고, 분위기를 위해서 한 말에, 심지어는 덕담과 칭찬을 야유로 곡해해 과도하게 감정을 분출했던 것이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 전에 비해 자신감이 생겨난 탓이리라. 트라우마와 콤플렉스는 타자와의 관계에 장애를 일으키는 치명적 원인이 된다.
물은 우리에게 생명을 줄 뿐만 아니라 사람의 살림살이에 대해 크고 작은 지혜까지도 안겨 준다. 불경 ‘채근담’에 의하면 물은 본래 소리가 없다고 한다. 물이 소리를 내는 것은 바닥 때문이라고 한다. 물이 어느 바닥을 만나느냐에 따라 소리를 크게 내기도 작게 내기도 한다고 한다. 즉 울퉁불퉁한 바닥을 만나면 물이 크게 소리쳐 울고, 고른 바닥을 만나면 물은 소리 없이 제 갈 길을 조용히 갈 뿐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물의 성정을 통해 인간 삶에 대한 지혜를 얻을 수 있다.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불화를 겪게 될 때 우리는 흔히 그 원인을 바깥에서 구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즉 내 안의 고르지 못한 생의 바닥을 탓하기 전에 물인 상대가 내게로 와서 까닭 없이 분란을 일으킨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내 생의 바닥을 늘 고르게 할 수 있다면 물인 그대가 아무리 자주 다녀간들 소리가 요란하지 않을 것이다. 또 불경 ‘법구경’에 따르면 같은 물도 뱀이 마시면 독이 되고, 소가 마시면 우유가 된다는 말이 있다. 같은 사실일지라도 받아들이는 주체에 따라 악이 되고 선이 된다는 뜻이다.
지금 우리의 생명수가 온갖 질병으로 크게 앓고 있다. 그 병인은 우리의 탐욕이 만든 것이다. 물의 건강은 우리의 의식이 건강할 때 되찾을 수 있다.
2018-08-21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