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생산성 고민 아쉬운 서울시 복지예산

[사설] 생산성 고민 아쉬운 서울시 복지예산

입력 2012-11-03 00:00
수정 2012-11-0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가 내년 예산에서 사회복지 분야에 6조 1292억원을 쓴다고 한다. 전체 예산(23조 5490억원)의 30%나 된다. 금액으로는 올해보다 무려 9490억원이 늘어 18.3%의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예산이 올해보다 8.1% 증가하지만 불황으로 내년 세수(稅收)는 4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복지 지출을 획기적으로 늘린 것이다. 그 배경은 박원순 시장이 지난해 보궐선거 당시 내세운 ‘복지예산 30%’ 공약을 조기에 달성하려는 의지를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세부 항목을 보면 일자리 창출 등 생산적 복지를 고민한 흔적은 찾아보기 어렵다. 자칫 퍼주기에 따른 고비용·저효율 복지로 흐를 가능성도 높아 걱정이 앞선다.

박 시장은 자신의 ‘보편적 복지’ 철학을 실천하기 위해 주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유보하고 새 복지제도를 여러 개 신설했다. 우선 비수급 빈곤층을 지원한다는 명목으로 ‘서울형 기초보장 제도’를 도입한 게 눈에 띈다. 내년 7월부터 생활수준이 최저생계비 이하이면서 법정보호를 못 받는 6만명에게 생계 및 교육급여로 410억원을 준다. 취약계층 희망고시원(14억원)을 만들고, 서울의료원을 ‘환자안심병원’(36억원)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자살예방사업 예산은 올해 3억 2500만원에서 25억원으로 대폭 늘렸다.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그러나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지원에는 전체 복지비의 1%도 안 되는 526억원이 책정됐다. 그 많은 복지예산이 대부분 ‘일방적 시혜’로 흔적도 없이 사라지면 ‘땜질식’ 복지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서울시가 기왕 복지에 신경쓰기로 했으면 단기적인 처방보다는 중·장기적인 복지인프라 구축에 더 힘을 기울여야 한다. 국·공립 어린이집을 확충하거나, 보건지소와 의료시스템 등을 개선하는 것 등이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돈 몇 푼 쥐여주는 복지보다는 생산적이고 지속가능한 복지에 더 많은 예산을 써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야 서울시가 지향하고 시민이 바라는 ‘당당하게 누리는 복지’를 앞당겨 실현할 수 있다. 서울시가 민선 시장들의 ‘복지 실험실’이 아니란 점도 명심해 주기 바란다.

2012-11-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