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도시형 맹금/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도시형 맹금/탐조인·수의사

입력 2022-04-10 19:56
수정 2022-04-11 0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2. 3. 경기 고양시. 잡은 먹이를 먹고 있는 황조롱이.
2022. 3. 경기 고양시. 잡은 먹이를 먹고 있는 황조롱이.
대한민국은 아파트 공화국이다. 한국의 가구 50% 이상이 아파트에 산다고 한다. 그렇게 아파트가 늘다 보니 아파트에 사는 주민도 다양해졌는데, 그중 하나가 매과의 맹금인 황조롱이다. 아파트 12층에 사는 친구 하나는 어느 날 베란다 빈 화분에 쥐가 반 마리 들어 있는 걸 발견했다. 친구는 얼굴을 찌푸리며 쥐의 사체를 버렸는데, 그다음 날인가 무섭게 생긴 새 한 마리가 베란다 밖에서 신경질적으로 날개를 퍼덕거리며 자신을 째려보더란다. 저 새가 왜 저러지 하다가 문득 그 쥐가 생각났고, 황조롱이에게 미안하면서도 그 상황이 많이 웃겼다고 했다.

봄이 되면 야생동물구조센터로 아파트 베란다에 매가 알을 낳았다는 전화가 많이 온다. 보통 그 매는 ‘아파트 주민’인 황조롱이다. 황조롱이는 스스로 둥지를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까치가 쓰다가 버린 둥지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렇게 아파트가 많은 세상에서는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나 옥상의 빈 화분, 스티로폼 박스 같은 우묵한 곳을 둥지 삼아 알을 낳곤 한다. 그런 경우 가능하다면 어린 황조롱이들이 다 커서 떠날 때까지는 부모새가 부담스럽지 않게 은근슬쩍 지켜봐 달라고 부탁드린다.

알을 품고, 새끼들이 떠날 때까지 두 달 정도다. 야생동물구조센터에 문의하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 친절하게 알려 줄 것이다. 둥지의 새들이 커 가는 경이로운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그러나 황조롱이는 야생성이 강한 맹금이자 법으로 보호받는 천연기념물이므로 길들여서 영영 같이 살겠다는 생각은 절대 하지 마시라. 자가격리 7일도 답답한데, 평생을 갇혀 살아야 한다면 황조롱이에게는 끔찍한 일이 될 것이다.

아파트 옥상 위로 날아가는 황조롱이를 보며 저 녀석은 어쩌다 여기 있을까 생각한다. 사실 황조롱이가 도시에서 살게 됐다기보다는 도시가 황조롱이 서식지에 생겼다는 게 맞을 것이다. 도시라도 논밭, 공원, 개천, 습지 등 쥐가 숨을 수 있으면서 주변이 트인 공간이 있다면 황조롱이는 빠른 날갯짓의 정지비행으로 먹이를 찾을 수 있는 환경이 돼 적응해서 살 수 있다.

산책 중 정지비행을 하는 녀석을 보게 되면 늘 홀린 듯 발길을 멈추고 그 움직임을 따라가게 된다. 이번에는 꼭 사냥에 성공하기를 기원하며. 개발만이 미덕이며 목표인 사회에서의 삶이 너에게도 나에게도 너무 힘들지 않기를.

2022-04-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