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아무튼, 아무튼/김이설 소설가

[문화마당] 아무튼, 아무튼/김이설 소설가

입력 2021-01-20 16:58
수정 2021-01-21 02: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이설 소설가
김이설 소설가
아무튼 시리즈라고 있다. ‘생각만 해도 좋은, 설레는, 피난처가 되는, 당신에게는 그런 한 가지가 있나요?’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이 시리즈는 세 출판사가 하나의 시리즈를 만드는 협업 출판물이다. 하나의 주제를 다루는 에세이집으로 시인, 활동가, 목수, 약사, 일러스트레이터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며 개성 넘치는 글을 써 온 이들이 자신이 구축해 온 세계를 각 권의 책에 담아낸 글이다. ‘아무튼, 피트니스’를 시작으로 ‘아무튼, 서재’, ‘아무튼, 쇼핑’, ‘아무튼, 택시’ 등 뜻밖의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아무튼 뒤에 붙은 주제는 딱따구리, 트위터, 양말, 술, 문구, 떡볶이, 순정만화, 언니, 목욕탕, 반려병, 뜨개, 후드티 등 각양각색이다. 가장 최근에 나온 주제는 ‘인기가요’다. 부제는 ‘오늘 아침에는 아이유의 노래를 들으며 울었다’.

서효인 시인이 쓴 그 ‘아무튼, 인기가요’를 얼마나 재미있게 읽었는지 모르겠다. 케이팝을 좋아하는 십대 아이들과 말이 통하는 엄마로서, 그 세계를 섭렵하고 있다는 자부심을 가진 사람으로서 그 책에 실린 ‘노래를 듣는 3분 동안이나마 우리는 가까스로 희망을 품는다. 사랑도 하고 이별도 겪는다. 겨우 3분 동안. 무려 3분이나’라는 내용을 너무 정확히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새로운 아무튼 시리즈가 나올 때마다 나는 내게 아무튼 시리즈 의뢰가 들어온다면 무엇에 대해 쓸 수 있을까 생각해 보곤 한다(직업정신이다). 소설가이지만 소설에 대해 쓸 만큼의 내공은 아직 한참 부족하니까 그건 제외. 그 외에 나만 쓸 수 있는 무언가가 나에게 있나? 이런 질문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독서교육 성공담? 문과 엄마의 이과 아이 키우기 노하우? 책 버리기에 관해? 최대한 밥 안 해 먹고 살기에 대해서? 마감 미루기의 다양한 사례에 대해? 면허는 있으나 운전은 못 하는 사람의 대중교통 이용에 대해서라면?

관심거리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그러나 뜨개질은 코바늘 뜨기의 한길긴뜨기 방법으로 담요만 주구장창 떠 왔을 뿐이고, 술은 아무 술이나 술이면 다 좋고, 커피는 선호하는 원두가 따로 있는 것도 아니며, 케이팝은 내 아이들이 좋아하는 아이돌에 대해서만 잘 알 뿐이고.

자꾸 열거할수록 구차해진다. 뭐 하나 전문 분야가 없다. 뭐 하나 관심을 가지고 바라보는 대상이 없고, 무엇하나 제대로 할 줄 아는 게 없다. 어떤 취미도 어떤 취향도 어떤 흥밋거리도 없다. 심지어 특별히 좋아하는 영화 장르도 없고, 딱히 선호하는 소설 장르도 없다(소설을 쓰는 사람으로 이건 좀 심각한 문제 같기도 하다). 좋아하는 것이 딱히 없듯이 유난히 싫어하는 것도 없다. 그래서 사람 좋다는 말을 듣기도 하겠지만 그 말은 특징 없는 사람이 되기에 딱 좋은 사람이라는 뜻도 된다.

모난 돌이 정 맞기 쉽다. 하지만 세상의 매끄럽지 않은 곳을, 울퉁불퉁 튀어나온 곳을 억지로라도 드러내고 파헤치고 때로는 후벼 파기도 하는 것이 소설가의 할 일이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나는 본업에 게으른 것은 아닌지. 이렇게 안일하게, 둥글둥글, 좋은 게 좋다고 생각하며 살아가면서 어디 소설을 쓸 수 있겠는가 하는 반성.

그래서 뒤늦게나마 새해 계획에 진심을 다하자는 수식어를 붙여 본다. 아무튼 시리즈를 쓸 정도는 아니더라도 일상에 열과 성의를 다하자는 의미로, 좀 뜨거워지자는 뜻으로, 뭐든 조금 더 온도를 높여 보자는 마음으로. 잡곡밥을 하는 데 진심을 다하자. 매일 단편소설 한 편을 읽는 일에 진심을 다하자. 원고 마감 엄수에 진심을 다하자. 나를 돌보는 데 진심을 다하자. 나에게 진심을 다하자.

여러분의 새해 계획에도 ‘진심을 다하자’는 수식어를 붙여 보길 권해 본다.
2021-01-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