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우의 마음의 의학] 죽어야만 하는 이유? 살아가야 할 이유

[백종우의 마음의 의학] 죽어야만 하는 이유? 살아가야 할 이유

입력 2020-09-28 17:30
수정 2020-09-29 0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경희대병원 교수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경희대병원 교수
자살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돕는 방법을 알리는 모든 생명지킴이 교육에는 두 가지 질문이 공통으로 들어간다. 먼저, 자살을 생각하는지 구체적으로 물어보라는 것이다. “혹시 자살을 생각하고 있나요?” 상대방이 싫어할 것 같지만 오히려 마음을 열고 자신을 드러내는 계기가 된다.

고통을 겪는 상황과 이유를 충분히 듣고 난 다음엔 두 번째 질문을 한다. “살아가야 할 이유가 있나요?” 누군가에게는 부모, 자식, 친구일 수도 있겠고 어떤 사람에겐 반려동물일 수도 있다. 종교나 신념도 좋고 꼭 해 보고 싶었던 일이나 취미, 목표도 좋다. 이 질문으로 살아가야 할 이유를 떠올릴 수 있다면, 그 희망을 가지고 이제 무엇을 할지 말하도록 대화를 이어 나가게 된다. 만남이 절망에서 희망으로 변하는 중요한 디딤돌이 된다.

물론 이때 살아가야 할 이유를 한 가지도 떠올리지 못하는 절망에 빠진 사람들이 있다. 구체적 자살 계획까지 가지고 있고 그 배경에 심한 우울증 같은 정신과 질환이 있다면 정신응급으로 즉각적인 도움과 치료가 필요하다. 오랜 절망이 있지만, 응급은 아니라면 다음 약속으로 이야기를 이어 나갈 수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주 40년 전 본인의 자살 시도 경험을 드러냈다. 수면제 대신 소화제를 준 약국과 주변의 도움이 있었다고 했다. 그게 우리 사회에 진 가장 큰 빚이었다고 회고한 뒤 “우리 죽지 말고 삽시다”라며 1577-0199 정신건강상담전화를 알렸다.

셀트리온 서정진 사장은 사업 초기 빚에 내몰려 은행이 여는 날마다 날아오는 빚 독촉을 견딜 수 없어 죽음을 결심한 적이 있다고 한다. 죽으러 가다가 중앙선을 넘어온 트럭에 죽을 뻔한 일을 겪고 다음 죽을 날짜를 정했다고 했다. 그러곤 주변에 미안하고 그동안 감사했던 마음을 전하며 한 달을 살았더니 어느덧 죽어야 할 이유가 다 없어져 있더라고 이야기했다.

자살률을 줄인 국가를 보면 정부, 지방자치단체, 사회 지도자들이 한결같이 그런 이야기를 하며 힘을 북돋았다. 우리도 그런 얘기를 더 많이 나눠야 한다. 우리나라 자살예방법 3조는 이야기한다. 자살 위기에 처한 국민은 누구나 국가와 지자체에 구조를 요청할 권리가 있다. 이 권리를 절망에 가로막히지 않고 권리로서 누리려면 사회 지도자들도 나서야 한다.

올해 설날쯤 시작된 코로나19가 추석까지 이어지고 있다. 길고도 매섭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점이 돼 버린다. 사람과 사람의 연결선이 모두 끊어진 상태이다. 이때 단 한 사람이라도 죽음을 생각한 이유와 살아가야 할 이유를 귀기울여 들어 준다면 희망을 다시 만들 수 있다. 고마운 사람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해야 할 추석조차 따뜻하게 손 한 번 잡아 주기 힘든 시기이다. 그러나 코로나19도 우리가 마음을 전할 모든 방법을 막을 수는 없다. 우리는 저마다 누군가에게 살아가야 할 이유가 될 수 있다.
2020-09-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