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과학 따라잡기] 패류독소 분석 표준물질 개발/신현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요즘 과학 따라잡기] 패류독소 분석 표준물질 개발/신현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입력 2020-12-28 17:44
수정 2020-12-29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약품 생산에도 활용 가능성

패독으로 인한 마비, 두통 등 중독증상은 마비성 독소를 가지고 있는 와편모조류를 섭취한 조개, 홍합 등 어패류를 사람이 먹었을 때 나타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른다. 이 때문에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매년 패류를 채취해 독성을 분석하고 독성이 기준치를 넘으면 패류의 유통과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마비성 패류 독소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위해서는 표준물질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엔 표준물질이 없기 때문에 그동안 캐나다 국립연구원에서 표준물질을 구입해 독성을 분석해 왔다. 표준물질은 패류독소를 가지고 있는 와편모조류의 대량 배양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국내 연구팀은 2018년 동중국해에서 약 100년간 학계에 보고가 없었던 와편모조류인 센트로디니움을 발견하고, 우리나라에서 출현하는 마비성 패독의 원인종과 분자 계통학적으로 매우 가깝다는 것을 확인했다. 약 3년간의 연구로 센트로디니움이 기존에 알려진 마비성 패독의 원인 종보다 매우 강하고 다양한 독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최근 대량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센트로디니움은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국내 연구팀만 보유하고 있는 식물플랑크톤 자원이고, 이 종이 가진 다양하고 강한 독소를 이용해 조만간 표준물질 생산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센트로디니움 대량 배양과 독을 정제, 생산할 수 있는 안정적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의약품 생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20-12-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