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강물처럼/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의 詩와 視線] 강물처럼/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입력 2022-12-21 19:48
수정 2022-12-22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올해는 저 바다처럼
토할 것 같아. (중략)
과거는 어떤 열정적인 데자뷔,
이미 본 하나의 장면.
역사의 형식 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얼굴을 발견한다.
알아볼 수 있지만 기억나지 않는
익숙하지만 잊힌 얼굴들.
제발, 우리가 누군지 묻지 말라.
슬픔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이름을 붙이는 것.
입술이 말을 하려는 것처럼
고통은 우리를 갈라 놓는다.
언어 없이는 어떤 것도 살 수 없다.

우리 비록 길 잃은 느낌이나
연민보다 더 나은 나침반은 없다.

―어맨다 고먼, ‘나침반’ 중

지나는 해에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까. 저마다 다른 이름들이 있겠지. 이름 붙일 수 있는 이는 행복하겠지. 누군가를 떠나보내야 하는 이는 이름을 붙이기 못할 것이기에. 시인은 큰 슬픔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이름을 붙이는 일이라고 한다. 어떤 고통은 끝내 지워진 시간으로 남으니. 어떤 아픔은 끝내 아무런 말을 못 하고 덮게 되니. 직면하라고, 직면해야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치유자들은 상처 입은 영혼의 어깨를 흔들며 강조하지만, 끝내 어떤 슬픔은 말이 되지 못하고 묻힌다. 마음의 감옥 속에.

용서는 내가 하는 것이 아니라서, 내 의지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서 어떤 대상을 향해서는 용서가 찾아오기를 고요히 청한다. 망각 또한 내가 잊었다 하여 잊어지는 것도 아니어서 놓을 수 없는 기억을 향해서는 스르르 망각이 찾아오기를 청한다. 시간의 마법 속에서. 시인은 우리 비록 길 잃은 시간을 보냈지만, 토할 것 같은 치욕과 고통의 시간 뒤에 연민을 갖자고 청한다. 연민보다 더 나은 나침반은 없다며 말이다. 연민은 서로를 같은 방향으로 바라보게 하기에 길 잃은 시절의 나침반이 된다.

시의 뒷부분에서 시인은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되지 말고 가장 많이 보는 것이 되자고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스스로를 발견할 수 있다고. 도망가지 말고 달리자고 하면서 시인은 따뜻한 풀밭을 아장아장 달리는 아기의 달리기를 그려 보인다. 아이의 달리기는 필시 몇 걸음 더 가지 못하고 넘어지는 달리기일 것이다. 넘어져 찡얼거리며 울음을 터뜨리겠지.

도망가지 않고 달리는 일. 강건한 육상선수의 달리기가 아니라 아기의 걸음으로 달리는 일. 그 달리기를 시인은 우리 본성 안에 강물처럼 흐르는 자질로 보았다. 아장아장 따뜻한 풀밭을 내달리는 아기. 나침반이 고장 난 시절에 나침반의 흔들리는 침이 북쪽인지 남쪽인지 잘 모르겠는 이 시절에 나침반의 올바른 방향을 어떻게 가늠할까, 시가 그 답을 줄까 궁금했다. 시는 끝내 그 답을 알려주지 않는다. 다만 말한다. 그 달리기로 인해 우리 온 얼굴이 눈부시게 된다면, 그 눈부심 하나로 맑아져서 우리 서로 웃을 수 있다면 우리 “어떻게 변하지 않을 수 있겠니”라고. 이 시를 올해의 마지막 시선으로 고르며 나 또한 웃는다. 달리기를 계속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넘어져도 일어서겠다고, 강물처럼 흐르겠다고.

2022-12-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