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배려의 정량적 한계/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의 사피엔스와 마음] 배려의 정량적 한계/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입력 2022-05-02 20:32
수정 2022-05-03 02: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집에서 차를 몰고 큰 도로로 나가려면 편도 2차선을 지나야 한다. 1차로는 좌회전과 직진, 2차로는 직진과 우회전용이다. 교통신호 대기 중 2차로가 비면 바로 나갈 수 있어 좋다. 반면 그 차로에 차가 있는 경우 직진 신호가 떨어져도 막히는 게 다반사다. 우회전 차량이 횡단보도의 보행 신호에 막혀 우회전을 못 하고 대기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보통 직진 차량이라면 1차로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2차로를 비워 주는 일종의 배려가 암묵적으로 있다. 얼마 전 길을 나서다 ‘나는 몇 대까지 견딜 수 있을까?’라는 엉뚱한 생각을 했다. 만일 서너 대 정도가 1차로에 서 있다면 별 생각 없이 줄을 설 테지만 8대가 서 있다면 이번 신호에 넘어가지 못할 수 있으니. 공동체 안 배려의 한계를 숫자로 셀 수 있는 상황이었다.

기억을 확장해 보니 우측 차선이 잘 비는 곳은 지역에 매일 다니는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곳이 많다. 모르는 동네에서 실수로 우측 차선으로 가다 신호에 걸리면 왠지 모를 뜨거운 시선의 레이저를 뒤통수에서 느낀다. 경적 소리를 안 들으면 다행이고. 반면 인연 없는 차들이 오고 가는 번화가는 직진 차들이 무심하게 줄을 선다. 첫 번째 차만 되지 않는다면 별 생각 없이 그 뒤로 붙게 된다.

작은 공동체에서라면 얼굴 볼 일 없지만 내 행동이 곧 되돌아온다는 걸 안다. 차 속에 있어 누가 누군지 모르니 괜찮겠지 하다 분위기가 무너져 버리면 나도 불편해질 걸 아는 덕분이다. 번화가에서는 매일 다니는 곳이라도 배려의 룰을 지킬 필요가 없는 사람이 훨씬 많다. 내가 안 지킨다고 다음에 손해를 보거나 응징당할 가능성은 떨어진다. 매일 그 길로 다니는 사람을 제외한다면 말이다. 그러니 왼쪽 차선 줄이 길다 싶으면 훌쩍 우측 차선으로 붙는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어디를 가든 잘 지키는 사람과 빨리 가는 것이 최우선인 사람은 있을 것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공동체의 따가운 시선과 나의 편리함 사이에서 가치관의 저울을 작동하는 것이다. 딱 한 번 가는 곳이라면 과감히 편의를 위하겠으나 매일 가는 곳이라면 내일의 나를 위해 오늘의 배려를 할 것이다. 사회심리적 작동 원리가 작은 사거리에서도 정확하게 작동한다. 코로나 3년차라 그런지 구급차에 차선을 비켜 주는 것은 모세의 기적이란 말을 할 필요도 없이 자연스러워졌다. 지키지 않으면 벌금을 내라는 법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배려일 때 기분도 좋아진다. 그렇지 않아도 힘든 일이 많은 시간이다. 일상에서 덜 각박하고, 여유의 숨통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이런 시스템이 보이지 않게 작동할 때 같다. 내 행동이 돌고 돌아 결국 내게 돌아올 것이란 믿음이 필요하다. 남을 위하지만 결국 나를 위한 행동들이 모여서 여유와 편리가 만들어진다.

여기까지 생각을 하고 나니 지금까지 내 기준보다 어림짐작으로 한 대까지는 더 차선 변경을 하지 않고 참아 보자는 다짐을 하게 된다. 도심이나 모르는 지역도 내가 매일 다니는 곳이라 확장해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모두의 여유는 하루의 출발에서 시작하게 될 테니.

2022-05-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