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윤여정 그리고 호칭어

[이경우의 언파만파] 윤여정 그리고 호칭어

이경우 기자
입력 2021-05-02 20:14
수정 2021-05-03 0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아카데미상은 미국 영화계 최고 권위의 상이다. 수상자들에게 주는 트로피 이름이 ‘오스카’여서 오스카라고도 불린다. 지난주 배우 윤여정이 오스카를 받았다. 오스카가 그를 빛내기도 했지만, 그도 만만치 않게 오스카를 빛냈다. 폼 잡는 이들, 폼 잡는 말을 건넨 이들 앞에서 그는 폼 잡는 말을 하지 않았다. 그의 매력이었다. 그가 무대에서 보여 준 언어는 일상의 그것과 다르지 않았다. 스스럼도 거침도 없어 보였다.

큰 배우가 된 그는 후배들에게 ‘선생님’으로 불렸다. ‘선배’이지만 후배들은 그것을 훨씬 넘는 존칭을 붙였다. 그보다 나이가 많은 배우들은 그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 그의 이름에 ‘씨’를 붙이기도, 친분 관계에 따라 빼기도 했다.

언론 매체들은 대부분 그의 이름 뒤에 아무런 존칭을 붙이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불문율처럼 줄곧 그래 왔던 일이다. 익숙해져서 당연하게 받아들인 독자와 시청자도 있을 것이고, 눈치를 채지 못한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왜 연예인들에게는 ‘씨’를 붙이지 않는지 고개를 갸웃하는 이들도 있다. 언론 매체는 대부분 범죄를 저지른 이들의 이름 뒤에도 인권이란 이름으로 존칭 ‘씨’를 붙인다.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오스카를 받은 그의 이름을 그대로 호칭하는 게 부담스러웠는지 일부 매체들은 간혹 ‘씨’를 붙이기도 했다.

딴따라.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의성어다. ‘나팔 소리’를 뜻하는 영어 ‘탠타러’(tantara)에서 왔다. 이전엔 연예인을 얕잡아 ‘딴따라’라고 부르곤 했다. 연예인들의 성명 뒤에 ‘씨’를 붙이지 않는 건 이 시절 연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표시였다. 시대도, 이들을 보는 시각도 바뀌었지만, 언론 매체가 이들을 부르는 방식은 아직 그대로다.

언론 매체는 연예인 말고도 운동선수와 외국인에게도 대부분 존칭을 붙이지 않는다. 직함이 있어야 존칭 같은 직함을 붙인다. 외국인에게는 한때 ‘씨’를 붙이던 시절이 있었으나 지금처럼 변했다. 외국인에 대한 배타성이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공공 영역에 속하는 언론의 언어가 사적 영역의 언어와 같을 수 없다. 언론 매체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다. 늘 염두에 두고 말을 옮기고 적어야 한다. 형평성 있고 공정한 잣대로 대해야 마땅하다. 관행이 돼 지나쳐 왔지만 호칭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항의할 수도 있는 일이다. 모두에게 존칭을 하지 않거나 모두에게 존칭을 하거나 선택해야 하는 시간이 다가왔다.
2021-05-0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