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을 전어/오승호 논설위원

[길섶에서] 가을 전어/오승호 논설위원

입력 2012-09-07 00:00
수정 2012-09-07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략 6년 전인 것 같다. 고인이 된 박홍수 전 농림부장관과 언론인 몇 명이 저녁을 함께하는 자리였다. 농정에 대한 소신을 피력하던 박 장관이 음식점 종업원을 부르더니 “전어를 통째로 몇 마리 가져오라.”고 주문했다. 식탁엔 이미 잘게 썰린 전어회가 놓여 있었다. 이내 썰지 않은 전어가 나왔다. 그는 “전어는 이렇게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면서 통째로 먹기 시작했다. 감탄사가 절로 터져나왔다.

전어가 제철을 맞았다. 전어잡이는 9~10월 집중적으로 이뤄진다. 7~8월에는 기름기가 적고, 11월 이후에는 뼈가 억세진다. 가을 전어는 지방 함량이 봄에 비해 3배 가까이 많다. 산란을 위해 여름 내내 먹이를 많이 먹기 때문이다. 가을 전어가 별미인 이유다. “가을 전어에는 깨가 서 말이다.”라는 속담이 있을 만큼 맛이 고소하다.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가 돌아온다.”고도 했다. 태풍으로 미뤄졌던 전어축제가 전국 곳곳에서 열리고 있단다. 올해는 조업량이 늘어 전어값이 싸다고 하니 서민들도 맛볼 수 있겠지 싶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2-09-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