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보이지 않는 아픔/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길섶에서] 보이지 않는 아픔/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김성호 기자
입력 2016-03-17 18:22
수정 2016-03-17 1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탈까, 말까. 한참을 망설이다 몸을 맡겼다. 퇴근길 지하철 객차에서 내린 몸 상태가 최악이다. 식은땀이 줄줄 흐르고 머리가 빙빙 도는 게 탈이 크게 난 듯하다. 웬만하면 계단을 오를까 했는데, 영 자신이 없다. 평소 몸이 안 좋을 때 기웃기웃하다 계단을 택하곤 했는데. 오늘은 도저히 승강기 신세를 지지 않으면 안 될 듯하다.

만원이다. 벽을 향해 섰는데 뒷덜미가 뜨겁다. 시선 탓일까, 자격지심일까. “누구에겐 순간의 편리함이지만, 누구에겐 유일한 통로입니다.” 노인의 낭랑한 목소리가 귀를 때린다. 승강기 벽에 붙은 문구를 읽어 내리는, 다분히 고의적인(?) 낭독이 끝날 무렵 추임새처럼 여러 목소리가 얽힌다. “웬만하면 젊은 사람들은 걸어다니지.”

괜한 짓을 했나 보다, 그냥 계단으로 올라갈 것을. 그런데 왠지 야속하다. 서 있기도 힘들 만큼 아픈데. 식은땀이 줄줄 흐르는데. 그리고 내 나이도 50대 중반을 넘겼으니 새파랗게 젊은 것도 아닌데…. 노인들이 다 내릴 때까지 기다렸다가 승강기 문을 나서는데, 왠지 씁쓸하다. 보이는 아픔만 아픔일까? 보이지 않는 아픔도 이렇게 큰데….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6-03-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챗GPT의 성(性)적인 대화 허용...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
1. 찬성한다.
2. 반대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