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단잠 타령/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단잠 타령/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7-11 21:06
수정 2018-07-11 2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까치 짖는 소리가 단잠을 깨운다. 시계를 보니 이제 5시 30분이다. 아파트 창밖 키 큰 소나무에 까치 서너 마리가 앉아 짖어 댄다. 까치들이 자리를 떠 조용해지는가 싶더니 참새 떼가 바통을 이어받는다. 참새들의 떼창이 까치 못잖게 소란스럽다. 조금이라도 더 잘 요량으로 일어나 창문을 닫는다.

날이 더워진 뒤 반복되는 새벽녘 일상이다. 아파트 바로 앞이 숲이라 온갖 새들이 모여든다. 까치와 참새는 물론 계절에 따라 멧비둘기와 뻐꾸기, 소쩍새, 딱새, 청딱따구리 등 종류가 제법 많다. 한때 산책할 때마다 스마트폰에 새들 소리를 녹음해 인터넷에서 이름을 확인하곤 했다. 모르던 새도 이름을 알고 다시 만나면 반갑고 각별했다.

하지만 새벽 창밖의 새들은 그저 미운 불청객이다. 밤새 뒤척이다 어렵게 잠들었을 땐 특히 그렇다. 한여름에 문을 꼭꼭 닫고 잘 수도 없고. 산책할 땐 마냥 정겹던 새들이 미워지는 순간이다. 한데 퍼뜩 ‘불청객은 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숲은 예전부터 있었고, 새도 항상 거기서 짖어 댔을 테니까. 침입자 주제에 단잠 타령이라니. 둘러보니 세상사가 이런 일투성이다.

2018-07-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