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어느 늦가을 오후/손성진 논설고문

[길섶에서] 어느 늦가을 오후/손성진 논설고문

손성진 기자
입력 2019-11-18 00:38
수정 2019-11-18 02: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음의 곳간이 비었다는 생각이 들 때 찾아가면 좋은 곳들이 있다. 나로서는 도서관과 서점, 그리고 대학 캠퍼스다. 책 읽기를 게을리하고 대학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은 잘못과 허전함을 반성하고 달래 보려는 심산인지는 모르겠다.

책장 칸칸이, 쟁여 놓은 보물 같은 책들에 녹아 있는 지식의 향기를 맡아 볼 생각도 없이 외면해 왔으면서도 가끔 그 속에 파묻히면 마음만은 푸근해진다.

종이책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지만 여전히 그 온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어 신간을 고르고 도서관에 파묻혀 독서삼매경에 빠지는 모습을 보면 사그라져 가는 의욕이 불끈 솟아나기도 한다.

산에도 오를 겸 수채화처럼 단풍에 물든 대학 교정을 실로 오랜만에 찾아가 본다. 너무 달라진 풍경이 생경하게 다가오는 중에 갈피를 못 잡고 방황만 하다 허송세월을 보낸 듯한 대학 시절이 떠오른다. 때늦은 아쉬움이 밀려온다.

어설펐던 시절이 눈앞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마치 그때 그 자리에 서 있는 듯한 착각에 잠시 빠져 보기도 한다.

눈빛이 반짝이는 푸릇푸릇한 젊음이 캠퍼스를 오간다. 내 정신과 육체도 싱그러워지면서 기운이 차오른다. 공허했던 가슴이 충만해진다. 해질녘 늦가을의 오후가 유난히 아름답다.

sonsj@seoul.co.kr
2019-1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