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코로나의 비극, 생이별/이지운 논설위원

[길섶에서] 코로나의 비극, 생이별/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2-10 22:08
수정 2020-02-11 0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목을 길게 늘여 뺀 학(鶴)의 모습처럼 ‘기다림’을 잘 묘사하는 것도 없을 것 같다. 기다림은 대개 고통이다. 학수고대(鶴首苦待)의 간절함도 괴로움(苦)으로 표현됐다. 생이별은 단장(斷腸)의 고통이라 한다. 이산(離散)은 그 하염없는 기다림 때문에 끝없는 고통일지 모른다. 기실 끝이 있는 기다림도 버겁다. ‘새벽을 기다리는 파수꾼’, 초병(哨兵)에게는 더이상 시적인 표현이 아니다. 어둠 깊은 곳에서 동이 트기까지 얼마를 기다려야 하는지, 참으로 모질게 길다. 기어이 떠오를 해인 줄 뻔히 알면서도.

기다림을 부추기는 곳이 있다면 병상(病床)일 것이다. 병상은 외로움을 배양한다. 마음이 눅눅해진 노인의 병상은 더욱 그러하겠다. 해가 뜨고 한참, 점심을 마치고도 한참, 해가 떨어지고도 한참…. 눈은 TV를 보노라지만, 신경은 온통 병실문에 쏠려 있다는 걸 그 문을 드나들 때면 알게 된다.

병원, 요양원이 더 고요해졌다.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이다. 면회가 제한되더니, 어느새 전면 금지로 전환됐다. 당분간 오지 못하게 됐다고 고해도 실감하지 못하는 눈치들이다. 어차피 며칠에 한 번꼴이나 찾는 게으른 자식들이어서일지 모른다. 그럼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은 더해 갈 것이다. 기약 없는 생이별이기에.

jj@seoul.co.kr

2020-02-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