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창 밖의 나무/박홍환 논설위원

[길섶에서] 창 밖의 나무/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20-04-30 22:14
수정 2020-05-01 0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현듯 고개 들어 주변 풍광을 살펴보며 계절의 변화를 실감하곤 한다. 요즘처럼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갈 때가 특히 그렇다. 북서풍이 남풍으로 바뀌더니 겨우내 앙상했던 창문 밖 감나무 가지마다 파릇파릇한 이파리가 돋고, 다시 며칠 지나지 않았는데 한결 크고 두꺼워진 감잎들은 반짝거리며 생명의 빛을 한껏 뿜어내고 있다.

감잎들을 돋게 하려고 얼마나 많은 존재들이 노심초사했을까. 한겨울의 매서운 칼바람조차도 그 생명 부활의 원천이었음을 생각하면 새삼 자연의 신비한 힘이 경이롭게 느껴진다. 어느 누가 도와주지도, 자양분이나 생명수를 뿌려 주지도 않았지만 창 밖의 나무는 그렇게 황량한 겨울을 묵묵히 견뎌낸 뒤 신춘(新春)이 그려낸 찬란한 풍경화의 주인공이 됐다.

창 밖의 나무는 얼핏 방치된 듯 보였지만 자연계의 숱한 존재들과 소통하며 새봄을 준비하고, 맞이했던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희망을 잃은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 창 밖의 나무처럼 홀로 방치된 듯한 느낌일 것이다. 하나 지금 이 순간에도 희망을 잃은 사람들, 방치된 사람들의 회복과 회생을 기원하는 수많은 존재들이 있다. 모든 사람들이 간난의 시간을 극복하고 찬란한 풍경화의 주인공이 되는 꿈을 꿔 본다.

stinger@seoul.co.kr

2020-05-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