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자업자득/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자업자득/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7-30 20:26
수정 2020-07-31 02: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 팔자가 상팔자’라 하지만 이들에게도 등급이 있는 듯하다. 인간도 부러워하는 먹거리에 안락한 잠자리, 주인의 사랑까지 독차지한 반려견은 인간세상의 상류사회 귀족에 해당될 법하다. 하루아침에 주인에게 버려진 유기견은 삶의 터전에서 쫓겨난 유랑 농민들의 신세나 다름없다. 주택가 쓰레기통을 뒤지거나 맘씨 좋은 인간들이 던져 주는 먹이로 연명해야 하는 신세다. 이런 유기견들이 무리 생활을 하면서 DNA 한쪽 구석에 처박아 둔 야생성이 살아난다. 흔히 보는 야생 들개들은 인간사로 치면 스스로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유랑민들이 산적 무리로 변신한 느낌이 있다.

며칠 전 야산을 낀 동네 공원을 지나다 한 무리의 야생견들과 마주쳤다. 으르렁대는 품새가 사납기 그지없다. 일순간에 주인과 함께 있는 반려견을 떼지어 공격하는 장면을 목격했다. 주린 배를 채워 주는 먹잇감으로 본 것인지 기세가 맹렬했다. 얼이 빠져 뒷걸음치는 반려견을 향해 야생견 무리의 날카로운 울부짖음이 한동안 지속됐다. 주변은 삽시간에 공포감에 휩싸였다. 대낮에도 이런 상황이니 저녁 무렵이 되면 야생견의 출몰로 공원 나들이 자체가 두려울 정도다. 인간이 뿌린 씨앗이니 자업자득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020-07-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