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야근/이동구 에디터

[길섶에서] 야근/이동구 에디터

이동구 기자
입력 2022-05-08 20:30
수정 2022-05-09 03: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런 좋은 계절에 ‘야근’이라니…. 10여년 동안 운 좋게 주간 근무만 했었는데, 최근 야근할 일이 잦아졌다. 불행인지 환영할 일인지는 몰라도 불편하기 짝이 없다. 입사 초기만 해도 야근은 직업적 소명이라 생각하고 기꺼이 받아들였다. 업무 특성상 밤사이에 중요한 일들이 많이 벌어지곤 했으니 주간 근무보다 야근의 비중이 더 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새벽 시간에 퇴근하는 일이 반복돼도 힘들다거나 불평과 불만을 표시하기보다는 자긍심이 더 강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

야근은 누구에게나 체력적, 정신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건강상의 부담도 문제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가족이나 지인들과 어울릴 시간에도 업무에 매달려 있는 것이 더 스트레스다. 저녁 약속도 쉽지가 않다 보니 차츰차츰 지인들과의 만남도 줄어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어찌하랴. 회사라는 조직에 몸담고 있는 자의 숙명 아닌가. “조직이 나를 필요로 하고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참아 낼 수밖에.

2022-05-09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