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가사노동의 전자화

[길섶에서] 가사노동의 전자화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5-05-09 02:07
수정 2025-05-09 03: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전자제품 덕에 가사노동이 많이 줄었다. 주말이면 세탁기와 건조기를 여러 번 돌린다. 의류관리기로 니트나 와이셔츠도 말린다. 봄이 되면 패딩도. 가스레인지는 인덕션으로 바꿨다. 분 단위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꺼지도록 설정할 수 있어서다. 광파오븐으로 이런저런 요리를 한다.

그릇을 많이 쓰면 식기세척기를 돌린다. 일정 기간 안 썼더니 청결을 위해 돌려 달라고 알림이 왔다. 휴대전화에 앱을 깔고 가전들을 다 연결시켜서다. 그 뒤로 가끔 그릇들을 몰아서 돌린다. 스스로 걸레를 빨고 물도 채운다는 로봇청소기가 탐나지만 무선 진공청소기는 있다. 지인들이 두유·요플레 제조기, 믹서기, 계란찜기 등도 쓰던데 고민 중이다. 부엌이 전자제품 전시장이 되는 듯해서.

전자제품이 많아졌지만 전기요금 걱정은 에어컨을 쓸 때나 한다. 전기가 끊기면? 설비 점검을 위한 잠깐의 정전 외에는 겪어 본 적이 없다. 평일 설비 점검 때 회사에 있어 그 과정도 잘 모른다. 가사노동을 가전에 맡기면서 전기에 묶여 버렸다. 가끔 손노동을 해 봐야 하나, 그런 생각이 든다.
2025-05-09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