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감자꽃이 피면

[길섶에서] 감자꽃이 피면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5-06-10 00:56
수정 2025-06-10 18: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햇’이라는 접두사가 감자만큼 잘 어울리는 것이 있을까. “햇감자” 하면 입안에 포슬포슬 감자 분이 날린다.

무슨 습벽인지 햇감자만 보면 사들이고 본다. 못난이 감자, 잘생긴 감자가 뒷베란다에 봉지봉지. 다 어쩔 셈인지.

유월이면 우리집 앞 감자밭에는 흰꽃이 활짝 피었다. 달 있는 초저녁에 할머니는 감자꽃을 꺾어 내셨다. “아가, 미안하네.” 일껏 핀 꽃을 감자알이 잘 영글라고 툭툭 분지르셨다. 아까워도 내놓아야 하는 것을 감자밭에서 알았다.

감자만 보면 쩨쩨하던 내 손이 커진다. 먹을 사람이 있거나 말거나 넘치게 삶고 본다. 그런데 이상하지. 숟가락으로 껍질을 긁어 굵은 소금에 사카린을 질러도 양은솥에 오달지게 눌어붙던 맛. 그 맛은 무얼 어찌해도 돌아오지 않는다. 유월마다 미궁에 빠지는 맛.

삶은 감자 소쿠리에 딸아이는 눈길도 주지 않는다. 이 밋밋한 것이 속깊이 감싸 줄 때가 있는데, 이 심심한 것이 허기를 뜨겁게 채워 줄 때가 있는데.

삼시 세끼 혼자 감자를 먹는다. 감자꽃이 달보다 밝았던 달밤도 먹는다. 두고 온 달밤으로 열두 번은 들락날락, 환하게 깊은 감자 먹는 밤.

황수정 논설실장
2025-06-1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