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주말 전북 전주시에 갔다 왔다. 주로 한옥마을에 머물며 경기전, 한벽당, 오목대를 둘러봤다. 한옥마을 왼쪽에 풍남문(豐南門)이 있다. 전주성의 4대문 중 유일하게 남은 문이다. 1389년(고려 공양왕 1년)에 세워졌으나 정유재란 때 훼손된 것을 1768년(조선 영조 44년) 전라감사 홍락인이 복원하면서 풍남문이라 이름 붙였다. 왜 생소한 풍남일까? 풍패(灃沛)의 남쪽이라는 뜻으로 풍패는 중국 한나라를 세운 유방이 태어난 곳이다. 유방은 지금의 강소성 패현 풍읍에서 군사를 일으켜 중국을 통일했다. 조선 왕조를 연 이성계의 본향인 전주를 풍패에 빗댄 명칭이다.
258년이 지난 지금, 중국인들도 풍패에 대해 잘 모르는데 전주시가 풍남이라는 명칭을 고수할 필요가 있을까. 특히 한나라는 고조선이 패망하고 부여, 옥저, 동예가 들어선 시기에 우리 영토를 침탈한 나라다. 조선왕조의 발원지를 강조하는 ‘조선제일 문’이나 동학군이 집강소를 전주에 설치했던 점을 감안해 동학정신의 상징인 ‘인내천(人乃天) 문’으로 바꾸는 건 어떨지. ‘대한민국의 문화 수도’ 전주의 자존심을 지켜야 하지 않나.
2025-09-0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