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에서 쓰던 로봇청소기가 고장이 났다. 수리센터에 맡길까 고민하다 포기했다. 몇 년 전 가성비가 좋다기에 구입한 중국산인데, 중국산 로봇청소기의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 유출이 심각하다는 며칠 전 신문보도가 생각났다.
청소기 카메라가 집안을 누비며 찍은 영상이 해커 등 제3자에게 무단 유출되거나, 카메라가 강제로 작동될 수도 있다는 게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조사 결과였다. 가끔씩 충전이 부족하다며 꾀병 부리듯 태업(?)을 하는 것 말고는 신통하게 구석구석 깨끗이 해 주던 청소기가 우리집 개인정보를 빼돌리는 스파이일 수도 있다니!
국산 로봇청소기로 대체할까 생각도 해봤으나 로봇청소기에 대해 한번 생긴 보안 우려는 쉬 가시지 않았다. 그래서 거실 구석에 처박아 뒀던 진공청소기를 다시 쓰기로 했다. 일일이 팔을 뻗어 구석구석 밀고 다니는 게 품은 좀 들지만, 부족한 팔다리 운동도 되고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만일 다시 로봇청소기의 ‘알아서 척척 해 주는’ 서비스가 아쉬워지면 상대적으로 보안 성능이 좀 낫다는 국산을 택할 생각이다.
박성원 논설위원
2025-09-1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