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 지갑 속 신분증에는 새끼손톱만 한 크기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 빨간 씨앗에서 두 갈래 초록 새싹이 돋아나는 모습을 형상화한 ‘희망의 씨앗’이다. 장기기증 서약을 했다는 표시다.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장기기증 등록증도 늘 지갑에 넣어 다닌다.
정부가 뇌사뿐 아니라 연명의료 중단 후 심정지로 숨진 경우에도 장기기증을 허용하는 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장기기증을 등록하고, 올 초 연명의료 중단까지 서약한 나로서는 남다르게 들리는 소식이다. 장기기증을 결심하면서도 ‘과연 내가 뇌사 상태가 될 확률이 얼마나 될까’ 하는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초고령화로 장기이식을 기다리는 사람은 늘어나지만 정작 기증자는 줄어드는 추세다. 이식을 기다리다 하루 평균 8명 이상이 세상을 떠난다고 한다. 기증 범위 확대에 따른 부작용이나 윤리적 논란도 물론 살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생명을 나누겠다는 기증자의 뜻이 제도적 한계에 가로막히지 않고, 그 마음이 온전히 희망의 싹으로 자라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다.
이순녀 수석논설위원
2025-10-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