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밤늦은 마트. 어르신이 셀프계산대 앞에서 버튼과 씨름 중이었다. 결국 포기하려는 걸 보자 오지랖이 나왔다. “이 버튼인 것 같아요.”
민망한 듯 “제가 원래 이런 것 잘 쓰는 사람인데…” 하며 쓴웃음 짓는 그분께 “기계가 너무 어려워요. 쓸 때마다 헷갈려요. 저도 식당에서 이런 기계 보면 엄청 헤매요”라고 말을 많이도 했다. 위축되지 마시고 다음에도 계속 사용하시길 바라는 마음이었다.
사실 장광설 중 거짓은 없었다. 키오스크는 정말 모든 이를 공평하게 당황시킨다. 가장 최근의 디지털 전환 사례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조차 종이 메뉴판과 대면 주문이 더 익숙하다. 가게마다 사용법이 다르고 화면을 넘겨 가며 메뉴 고르는 것도 어려워서 키오스크는 세대를 가리지 않고 모두를 디지털 이민자로 만든다.
디지털 디아스포라로 흩어진 우리에게 필요한 건 작은 친절이다. 누군가 버튼을 찾지 못하는 건 개인의 탓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풀어 나가야 할 사회적 과제다. 오늘 도움을 받으면 누구든 내일은 “이 버튼이에요”라고 말해 줄 수 있다.
2025-11-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