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는 끝났지만 아직도 여러 뒷얘기가 회자되고 있다. 그중 세계적 이목을 집중시킨 것은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선물한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이다.
신라 금관 중 가장 크고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는 천마총 금관은 신라 22대 지증왕의 것으로 추정된다. 지증왕은 체격이 큰 왕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마총 금관은 높이 32.5㎝, 지름 20㎝. 금관을 보자마자 눈이 휘둥그레지는 트럼프 대통령의 표정이 숏폼으로 제작돼 전 세계인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소셜미디어(SNS) 플랫폼 엑스에는 ‘왕이 되고 싶은’ 트럼프 대통령이 화려한 왕궁 무대에서 금빛 신라 금관을 쓰고 멜라니아 여사와 손을 맞잡은 채 춤을 추는 영상이 확산되고 있다. 신라 천마총 금관 모형이 인공지능(AI)을 빌려 그의 권위주의적 행보를 풍자하는 ‘밈’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미국 CBS ‘더 레이트 쇼’와 NBC ‘지미 팰런의 투나이트 쇼’ 등 유명 토크쇼도 신라 왕관을 받은 트럼프 대통령을 익살스럽게 풍자했다.
전 세계에서 역사적인 유물로서 가치를 평가받는 왕관은 100여개. 우리나라에 10개가 있는데, 6개가 신라 금관이다. ‘금관 종주국’이었던 셈이다. 특히 신라의 최고 지배자를 ‘마립간’(麻立干)이라고 부르던 5세기부터 6세기 전반까지 약 150년은 황금 문화가 정점에 달하며 화려함을 꽃피우던 전성기였다. 9세기 이슬람 지리학자 이븐 쿠르다지바가 기행문 ‘도로와 왕국 총람’에 “예부터 신라는 금이 풍부하고 기술이 좋았다”는 기록을 남길 정도였다.
신라 금관은 나뭇가지 모양과 사슴뿔 모양의 세움 장식이 화려하다. 나뭇가지 모양은 하늘과 땅을 잇는 신성한 나무를, 사슴뿔과 새 모양 장식은 풍요와 초월적 권능을 의미한다. 나라의 정체성과 세계관뿐 아니라 마립간의 권력과 위신을 상징하고 있는 셈이다. 신라 금관은 1500년이 지나서도 슈퍼 파워의 지도자를 한순간에 매료시킬 정도로 빛을 발하고 있다.
2025-11-0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