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한국드라마 통제추진…韓流 제동

타이완, 한국드라마 통제추진…韓流 제동

입력 2011-01-12 00:00
수정 2011-01-12 02: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야의원들 TV법 개정안 제출…정부 관리들도 지지

 타이완 여야 입법위원(국회의원)들이 한국,중국,일본 등 외국 프로그램들의 타이완 방영을 통제하기 위해 ‘유선라디오TV법’ 개정안을 입법원(의회)에 제출했다고 11일 밝혔다.

 개정안에는 제1야당인 민진당 11명,집권 국민당 6명,무소속 2명 등 입법위원 19명이 서명했으며 정부 관리들이 잇따라 지지 의사를 표시해 개정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법 개정을 주도하고 있는 린수펀(林淑芬) 민진당 입법위원은 대만 TV들에서 넘쳐나고 있는 한국 드라마들을 비롯해 중국,일본 프로그램들의 타이완 방영을 통제하는데 법 개정의 주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린 위원은 한국 드라마가 GTV,동삼(東森),위래(緯來) 등 타이완 3대 드라마채널을 장악하고 있으며 아시안게임 양수쥔(楊淑君) 타이완 태권도선수 실격패 사건후에도 이런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유선라디오TV법’ 43조는 “유선 라디오 TV 프로그램중 본국 자체 제작 프로그램이 40% 이하여서는 안 된다”로 개정돼 현재 43조의 “20% 이하여서는 안 된다”에서 배로 늘어나게 된다.

 행정원 주계처(主計處) 통계에 따르면 유선 TV 가입률은 타이완 전체의 80%인 506만2천 가구여서 개정안이 통과되면 한국 드라마 등 한류의 타이완 진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린수펀 입법위원은 “타이완 문화와 TV 프로그램의 자주권을 지키기 위해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으며 타이완 프로그램에 본토 문화가 많이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라디오,TV,프로그램 등을 감독하는 행정원 신문국(新聞局) ‘라디오TV사업처’ 허나이치(何乃麒) 처장은 “법 개정 공포후 개정법에 따라 TV 프로그램에 대해 관리와 감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가통신전파위원회(國家通訊傳播委員會) 천정창(陳正倉) 부주임위원도 “개정안 통과와 동시에 정부가 TV 사업자들에게 제작 경비를 더 많이 보조해 타이완 문화가 대폭 들어간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개정안은 린수펀,젠자오둥(簡肇棟),판멍안(潘孟安) 등 민진당 입법위원 3명이 제안하고,민진당 8명,뤄수레이 등 국민당 6명,캉스루(康世儒)등 무소속 2명이 연대 서명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