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올해 최고 성과는 ‘에이즈 치료제’”

사이언스 “올해 최고 성과는 ‘에이즈 치료제’”

입력 2011-12-23 00:00
수정 2011-12-23 10: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올해의 10대 과학성과’를 발표했다.

23일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에이즈 감염을 100%에 가깝게 막을 수 있는 임상실험 결과가 올해 최고의 과학연구로 선정됐고, 한국 KAIST 과학팀의 ‘제올라이트’ 연구도 열 손가락 안에 꼽혔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은 지난 2007년부터 미국, 브라질, 인도, 케냐 등 9개국에서 모집한 에이즈 보균자-미감염자 커플 1천763쌍을 대상으로 ‘HPTN 052’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감염 초기에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투여하면 병세가 악화된 후에 처방한 것보다 미감염 배우자에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가 옮을 확률이 96%나 떨어진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에이즈 치료제인 항레트로바이러스제는 그동안 간 손상 등의 부작용 때문에 감염 초기에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두고 의료계의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이번 HPTN 052 프로젝트의 결과를 통해 감염 초기에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처방하는 것이 에이즈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

국내 KAIST 연구팀의 제올라이트 관련 연구도 올해 10대 과학성과로 꼽혔다.

KAIST 화학과의 유룡 교수팀은 벌집 모양으로 큰 구멍(메조 나노기공)과 작은 구멍(마이크로 나노기공)을 규칙적으로 배열해 제올라이트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제올라이트는 실리카(모래 주성분)와 알루미늄으로 이뤄진 결정형 광물을 의미하는데, 이온 교환 성질과 흡착력 때문에 특정 물질을 제거·농축·회수하는 촉매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유 교수팀이 개발한 벌집 모양의 제올라이트는 기존의 촉매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실험쥐의 노화세포를 제거하면 백내장과 근육 손실 등의 노화 현상이 지연된다는 연구 결과와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인 ‘RTS.S’가 아프리카 어린이의 말라이아 감염률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는 연구가 10대 성과에 선정됐다.

이밖에 사이언스는 ▲일본 하야부사 탐사선의 귀환 ▲현생 인류의 기원 연구 ▲식물의 광합성 핵심 단백질 구조 ▲우주 대폭발 시 초기가스 발견 ▲인간의 장내 세균 연구 ▲두 개의 해가 뜨는 행성 등 외계 행성 발견 등을 10대 성과로 꼽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