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로 쥐 노화 늦췄다”<美연구진>

“줄기세포로 쥐 노화 늦췄다”<美연구진>

입력 2012-01-04 00:00
수정 2012-01-04 17: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화하는 신체에 젊은 세포를 주입하면 신체가 튼튼해지고 생명이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ABC방송 인터넷판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피츠버그대 메디컬 센터 연구진은 빠르게 늙도록 유전적으로 변형된 쥐들에 젊고 건강한 쥐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로 보이는 세포들을 주사했다.

이들 세포는 노화 과정을 뒤집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를 맞은 쥐들은 예상된 28일보다 긴 66일까지 살았다. 또 세포를 주사한 결과 근력 강화와 뇌 혈류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린 논문의 공동 저자인 로라 니던호퍼 박사는 “젊은 줄기세포들이 상당히 이로운 무언가의 비밀을 쥔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것이 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인간의 노화에 대처하는 연구는 노령 인구가 늘어나고 노인 관련 의료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중요성이 크다. 과학자들은 이미 인간의 세포를 가지고 치료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니던호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가 앞으로의 연구에서 활용할 귀중한 실마리를 줬다고 말했다.

그러나 쥐를 상대로 한 실험이 성공했다고 인간의 노화를 막을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는 지적이 있다고 ABC는 전했다.

줄기세포 전공인 하버드대 에이미 와거스 교수는 이번 결과를 인간의 노화에 적용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쥐들은 선천성 조로증이 있어 보통의 쥐와도 다르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