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 원조’ 이시하라 “침략한 적 없다”<아사히>

‘극우 원조’ 이시하라 “침략한 적 없다”<아사히>

입력 2013-05-18 00:00
수정 2013-05-18 16: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일본유신회 공동 대표가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나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유신회 공동대표)보다 한층 분명하게 일본 ‘역사 수정주의자’(우익)들의 인식을 드러냈다.

아사히신문은 18일 이사하라 공동 대표가 이 신문과 인터뷰에서 제2차 세계대전과 관련해 “침략이 아니다. 침략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자학일 뿐이다. 역사에 관해서 무지한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하시모토 시장이 “패전의 결과를 고려할 때 침략이라고 받아들이고 반성하고 사죄할 수밖에 없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역사관의 차이를 분명히 밝힌 셈이다.

아베 총리의 “침략의 정의는 확실한 게 없다”는 발언으로 시작된 역사인식 논란은 하시모토 시장의 “위안부는 필요했다”는 발언으로 가열된 데 이어 이시하라 대표의 “침략한 적이 없다”는 발언으로 절정을 맞게 됐다.

아사히신문은 하시모토 대표의 발언에 대해 국내외의 비판이 고조된 가운데 하시모토와 이시하라 두 대표의 인식차까지 분명해짐으로써 일본유신회의 혼란이 한층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시하라 대표는 아사히신문과 인터뷰에서 “맥아더(더글러스 맥아더)도 (미국) 의회에서 ‘(일본의) 자위를 위한 전쟁’이었다고 증언하지 않았느냐. 자원(수입 경로)을 봉쇄당했기 때문에 결국 동남아시아로 진출할 수 밖에 없었다”며 “(식민지 지배) 그런 것은 근세에 유럽의 백인은 모두 한 것이지 않느냐. 근대는 먹느냐, 먹히느냐의 시대였다”고 주장했다.

일본이 일으킨 전쟁을 침략이라고 보는 시각을 “도쿄재판(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결정된 가치관에 근거해 역사를 규정하는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이전에도 조선 침략을 부정하면서 “무력으로 침략한 게 아니라 (한반도가) 너무 분열돼서 정리가 안 되니까 그들의 총의에 따라 (일본과) 합병한 것이다”라고 발언한 적이 있다.

이시하라 대표는 하시모토 시장이 “위안부가 필요했다”고 발언한 직후만 해도 “군과 매춘이 따라붙는다는 건 역사의 원리다. 기본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다”라고 옹호했지만, 이번에는 “(하시모토씨의 일련의 발언 탓에) 모두 곤란해하고 있다. 전후 맥락을 생각해서 발언하지 않으면 안된다”며 “과거에는 (위안부가 필요했다는 게) 사실이겠지만 현대의 윤리관에 입각해서 말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을 바꿨다고 신문은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